임종룡 "신속하게·비싼 가격에·다양한 수요자 조사" 3대 전략 제시'비싸고 메리트 없어서' 실패한 우리銀 매각, 이번엔 성공할까
-
-
-
-
▲ ⓒ NewDaily DB
“우리은행 민영화에 대해서는 3가지 원칙이 있다. 신속하게, 몸값을 높여서, 그리고 다양한 수요조사를 통해 매각을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임종룡 신임 금융위원장이 17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밝힌 우리은행 민영화 방안이다.
임종룡 위원장은 “우리은행 매각시한이 정해진 것은 아니지만 신속하게 추진할 것”이라며 “그간 4차례 매각을 진행했는데 이 경험을 토대로 공적자금관리위원장과 위원들을 만나 어떻게 팔아야 할지에 대해 공론화하겠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그 동안 4차례에 걸쳐 우리금융 민영화를 추진해 왔다. 그 중 3차례는 실패했다. 신제윤 전 금융위원장이 추진한 4번째 도전에서는 지방은행과 우리투자증권은 매각했지만 우리은행은 매각하지 못했다. ‘절반의 성공’에 그친 셈이다.
그 동안의 우리금융 민영화 경과를 되짚어 봤다.
◇ ‘우리은행’만 매각 불발… ‘덩치만 크고 메리트 없어서’
“금융위원장 직을 걸고 우리금융 민영화를 이루어내겠다”
지난 2013년 4월, 금융당국의 수장 자리에 갓 오른 신제윤 당시 금융위원장은 이같이 공언했다.
우리금융 민영화 작업은 속도가 붙는 듯 했다. 하지만 신제윤 전 위원장이 지난 13일 퇴임할 때까지 우리은행은 끝내 새 주인을 찾지 못했다.
금융위원회는 2013년 6월, 우리금융 민영화를 신속히 이뤄내기 위해 분할 매각 방안을 내놓았다. 우리금융을 ‘지방은행’, ‘증권계열’, ‘우리은행 계열’로 쪼갠 후 팔겠다는 것이었다.
금융당국은 공적자금 회수를 위해, 이번 매각 이전에도 3차례에 걸쳐 우리금융 민영화를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특히 지난 2012년에는 KB금융이 인수를 시도했으나 불발에 그치고 말았다. ‘지분의 95%를 한꺼번에 인수해야 한다’는 금융지주회사법의 규정이 부담됐기 때문이다.
당국은 우선 우리금융 계열 지방은행인 경남은행과 광주은행의 매각을 공고했다.
경남은행은 DGB금융지주와 BS금융지주, 기업은행이 입찰에 뛰어들었으며, 경남·울산 지역 상공인으로 구성된 경남은행 인수추진위원회도 입찰에 참여했다.
광주은행은 JB금융, 신한금융, 광주은행 우리사주조합이 뛰어들었으며, 광주상공회의소가 중심이 된 광주·전남상공인연합도 참여했다.
대형은행들과 기존 지방은행, 상공인 단체 등이 뛰어든 두 지방은행 인수전은 결국 경남은행을 인수한 BS금융과 광주은행을 인수한 JB금융의 승리로 끝났다. 두 은행의 매각으로 정부는 1조7272억원의 공적자금을 회수했다.
우리투자증권의 인수를 놓고는 NH농협금융지주와 KB금융지주가 맞붙는 양상을 보였다. 두 지주사 모두 포트폴리오 다양화를 위해 우리투자증권 인수를 통한 증권분야 외양 확대를 노리고 있었기 때문이다.
행정고시 선후배였던 임영록 당시 KB금융 회장과 임종룡 당시 NH금융 회장의 대결 구도를 놓고, 금융권에서는 ‘임(林)대 임(任)의 대결’이라고도 했다.
이 대결에서는 임종룡 당시 회장이 승리, 우리투자증권은 NH금융의 품에 안겼다. 이를 계기로 그는 ‘금융계 제갈량’이라는 별명을 얻으며 실력을 인정 받았고, 그렇게 인정받은 실력은 그를 금융당국 최고 수장인 금융위원장의 자리까지 이끌었다.
하지만 몸통인 우리은행의 매각은 또 다시 불발로 끝났다. 덩치가 너무 큰 탓에 사겠다고 나서는 자가 없었기 때문이다.
정부는 우리금융지주에서 지방은행과 증권을 분리하고, 경영권과 소수 지분 매각으로 나눠파는 ‘투트랙’ 방식을 도입하는 등 덩치 줄이기에 나섰다. 하지만 결과는 결국 흥행참패였다.
지난 11월 말 있었던 경영권 매각 공개 입찰에선 인수 유력후보로 거론되던 교보생명이 끝내 불참하고 중국 안방보험만 응찰했다. 결국 유효경쟁 요건이 성립하지 않아 매각은 불발됐다.
소수지분 매각도 사실상 참패로 끝났다. 매각 종료시점까지 당초 정부가 매각하려고 했던 우리은행 지분 56.97% 가운데 9%만 팔린 것이다. 정부의 공적자금 회수 노력은 이번에도 물거품이 됐다.
기존 금융지주사들은 우리은행 인수전에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그렇지 않아도 포트폴리오가 은행에 편중돼 있는 상황에서, 굳이 위험부담까지 감수해가며 또 하나의 은행을 사들일 이유가 없었기 때문이다.
금융권에서는 우리은행을 인수할 만한 금융사로 KB금융을 꼽았다. 그 정도 대형 금융사가 아니고서야, 우리은행을 삼킬 상상조차 하지 못할 것이라는 이유였다. 하지만 임영록 당시 KB금융 회장은 우리은행 인수 의향을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답한 바 있다.
-
-
-
▲ ⓒ NewDaily DB
◇ ‘신속·고가·맞춤’ 전략 성공할까
임종룡 위원장이 추진하는 우리은행 민영화 시도는 다섯 번째를 기록하게 된다. 그는 신속·고가·수요자 맞춤이라는 3가지 전략을 밝힌 바 있다.
문제는 우리은행을 받아들일 만한 수요자를 찾기가 어렵다는 점이다. 일각에서는 수요자의 범위를 넓혀야 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온다. 사모펀드나 해외 금융사 등에 대해 입찰을 허용하지 않는다면, 우리은행 인수전에 뛰어들 ‘선수’가 현실적으로 없다는 지적이다.
‘금융계 제갈량’ 임종룡 위원장이 우리은행 민영화 작업에 성공할 것인지에 금융권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