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의, '규제지도 공표 후 4개월, 지자체 변화' 분석·발표기업 60% "지자체 기업환경 개선"공장설립친화지역 70% 급증…100개 지자체, 155개 규제항목 개선완료
  • ▲ 지난해 12월 '전국규제지도' 발표후 4개월간 경제활동친화성지도 및 공정설립 지도 변화 모습. ⓒ대한상의
    ▲ 지난해 12월 '전국규제지도' 발표후 4개월간 경제활동친화성지도 및 공정설립 지도 변화 모습. ⓒ대한상의

     

    전국규제지도(bizmap.korcham.net)가 작성‧공개된 이후 전국적으로 기업환경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규제지도는 대한상의가 228개 기초지자체에 대한 '기업의 주관적 체감도'와 '공장설립 등 경제활동에 대한 지자체 조례의 객관적 친화성'을 분석해 각각 순위와 등급(S·A·B·C·D)을 부여한 뒤 색으로 표기한 지도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지난해 12월부터 지자체별 규제순위를 나타내는 전국규제지도를 작성‧공개하고 있다.

     

    6일 박근혜 대통령 주재로 열린 규제개혁장관회의에서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은 "지난해말 전국규제지도 발표때만 해도 71개였던 공장설립 친화지역이 4개월만에 120개로 늘어나는 등 규제개선을 위한 지자체간 선의의 경쟁이 이어지고 있다"며 '변화를 일으키는 힘 : 전국규제지도'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말 전국규제지도 발표후 전국적으로 190개 지자체가 규제순위향상 종합대책을 추진 중인 가운데 4월말 현재 100개 지자체가 155개 규제항목의 개선조치를 완료했다.

     
    주요내용을 살펴보면 △'계획관리지역내 공장설립 업종제한' 조례폐지 6곳 △상업·공업지역과 전용주거지역내 다가구주택 입지제한 14곳 △인허가 지연의 주된 요인이던 도시계획위원회 운영간소화 63곳 △경사도 기준 완화 내지 건폐율·용적률 확대 22곳 등이다.

     

    특히 강원 화천군, 전남 보성군, 전북 남원시, 경기 용인시 등은 여러 규제를 몰아서 단칼에 해소하는 '규제기요틴'을 시행한 결과 경제활동친화성 순위가 50계단 이상 상승했다.

     

    전북 남원시는 '규제신고엽서'와 '규제개선제안제도'를 운영하는 등 총 64건의 규제개선과제를 확정해 추진한 결과 180위였던 경제활동친화성 순위가 114위로 올랐다.

     

    경기 용인시는 전국규제지도 공개결과 인근지역보다 규제가 심한 점이 드러나자 이를 환경단체 설득에 활용해 건폐율·용적률 완화, 경사도 상한선 확대, 도시계획위원회 운영 간소화 등을 추진해 190위이던 순위를 57단계 끌어올렸다.

     

    전국규제지도발 규제개혁 훈풍은 기업환경기상도에 큰 변화를 일으켰다.

     

    지난 4개월 간의 지자체 규제개선 성과를 반영한 경제활동친화성 지도를 살펴보면, 우수등급을 의미하는 S·A지역이 지난해 68곳에서 100곳으로 32곳 늘어났다.

     

    부분별로는 공장설립분야 우수지역이 71개에서 120개로 69% 급증했다. 또 다가구주택 신축 분야의 하위그룹(C·D등급) 8곳이 상위그룹으로, 일반음식점 창업분야의 하위그룹 20곳이 상위그룹으로 올라섰다.

     

    이같은 지자체의 규제개선 노력에 기업들도 긍정적인 평가를 보냈다.

     

    대한상의가 최근 전국 300개 기업체를 대상으로 기초지자체의 기업환경 개선여부를 물어본 결과 61.3%가 "개선됐다"고 답했다.

     

    부분별로는 '지자체 공무원 태도가 개선됐다"는 응답이 74.7%로 가장 많았다. 이어 '행정시스템'(70.0%), '행정행태'(67.0%), '규제개선 의지'(66.7%), '불합리한 규제'(50.7%) 순으로 만족도가 높았다.

     

    '사업장을 이전한다면 어떤지역에 투자하겠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사업상 최적격이지만 규제가 많은 지역을 선택하겠다"(10.7%)는 응답보다 "사업성은 다소 부족해도 규제가 적은 지역을 선택하겠다"(89.3%)는 응답이 훨씬 많았다.
    

     

    이는 기업들이 규제가 많은 지역에서 적은 지역으로 이동하는 '발로 뛰는 선택'이 이뤄지고 있다는 반증으로 풀이된다.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은 "지방자치와 규제개혁은 자율과 창의 촉진이라는 점에서 일맥상통 한다"면서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그리고 기업이 3위일체가 되어 지자체 규제를 개혁하고, 기업은 새 사업을 많이 벌리는 가운데 우리 경제의 박동이 더욱 힘차게 뛰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동근 상근부회장은 "앞으로 '기업체감도 조사 표본수'를 지난해 6000개에서 올해 8000개로 확대할 것"이라며 "'경제활동친화성 분석'도 공공수주·납품, 산업단지 조성·입주, 환경규제 등 5개 분야를 추가해 총 10개 분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전국규제지도 홈페이지에 지자체 규제정보 이외에도 산업현황, 시장여건, 유망업종, 지자체별 경제정책, 행정실무 처리절차 등의 기업환경 참고정보를 함께 제공해 '전국기업환경지도'로 발전시켜 입지선택의 명실상부한 종합정보망에 대한 구상도 내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