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 사람도 없고, 팔아 봐야 제 값 받을 것 같지도 않다. 그렇다고 무작정 기다릴 수도 없다’
  • ▲ 공자위 회의 직후 기자 브리핑에 참석해 설명하고 있는 박상용 공자위원장. ⓒ 금융위원회 제공
    ▲ 공자위 회의 직후 기자 브리핑에 참석해 설명하고 있는 박상용 공자위원장. ⓒ 금융위원회 제공


    ‘살 사람도 없고, 팔아 봐야 제 값 받을 것 같지도 않다. 그렇다고 무작정 기다릴 수도 없다’

    우리은행 매각을 위한 다섯 번째 시도에 나선 정부의 고민이다.

    금융위원회 산하 공적자금관리위원회(공자위)는 21일 오전 회의 직후 열린 기자 브리핑을 통해 이 같은 고민을 털어놨다.

    박상용 공자위원장은 “국내 연기금, 프라이빗에쿼티(PE), 기업 등 우리은행 매수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는 여러 주체들에 대한 수요점검을 실시했다. 하지만 경영권 지분 매각이 쉽지 않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을 뿐이었다”고 토로했다.

    한 주주에게 파는 것은 도저히 불가능하므로, 지분을 쪼개 파는 ‘과점 주주 매각’ 방식을 도입할 수밖에 없다는 의미다.

    매각이 되더라도 현재 상황에선 제 값을 받기 어렵다는 것도 문제다. 주가가 낮기 때문이다.

    박상용 위원장은 “현재 우리은행 주가가 굉장히 낮다. 주된 이유 중 하나는 우리은행이 공적 통제를 받는 상황인데, 정부가 지분을 매각하고 나서도 여전히 통제에 개입하는 것 아니냐 하는 우려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런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앞으로 우리은행의 자율성이 최대한 확대될 수 있도록 예금보험공사의 업무협약(MOU)를 대폭 개선하고, 매각이 완료되면 MOU를 즉시 해지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우리은행의 주가가 높아질 때까지 마냥 기다리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박상용 위원장은 “빨리 민영화하는 게 관건이다. 주가가 형편없이 낮은데 무턱대고 민영화를 추진하는 것도 옳지 않지만, 주가 오를 때까지 무작정 기다리는 것도 바람직하진 않다. 민영화의 틀을 만듦으로써 주가가 오르기를 기대하겠다”고 말했다.

    ‘공자위원의 임기가 10월까지인데, 사실상 매각을 내년으로 미룰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대해서는 “과점주주 대상 매각을 시도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복수의 주주가 앞으로 각자 경영에 참여할 수 있는 지배구조를 만드는 매각이기 때문에 검토해야 할 상황이 많다”면서도 “공자위원 임기가 얼마 남지 않았다는 이유만으로 매각이 지연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우리은행 민영화 작업은 지난 2010년 첫 추진된 이후 이번이 다섯 번째 시도다. 아직 뚜렷한 매수 희망자가 나타나지 않고 있는데다 우리은행 주가도 한 주당 1만원을 밑돌면서 올해 매각이 연기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