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성장 동력 낙점... TV·모바일·폴더블·차량용 디스플레이 양산 계획
  • ▲ 한상범 사장. ⓒLG디스플레이.
    ▲ 한상범 사장. ⓒLG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가 오는 2018년까지 10조원이 넘는 대규모 투자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17일 밝혔다. 투자분야는 OLED 디스플레이가 적용되는 TV와 자동차, 스마트폰 등을 비롯해 고급형 LCD 패널이다.

    LG디스플레이는 이날 파주공장에서 'LCD 생산 20주년 기념 중장기 전략 발표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는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함께 LG디스플레이 한상범 사장과 여상덕 OLED사업부장 사장 등이 참석했다.

    이번 발표회에서 LG디스플레이는 2018년까지 LCD 중심의 기존 투자방향을 OLED와 프리미엄급 LCD 분야에 맞추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LG디스플레이는 이 기간 동안 약 10조원에 달하는 투자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OLED의 경우 LG디스플레이가 미래 성장 동력로 꼽고 있는 사업이다. LG디스플레이는 대형 OLED를 통해 프리미엄 TV에 대한 시장 지배력 강화하는 동시에 신시장 창출에 집중할 방침이다.

    중소형 OLED에서는 플렉서블 OLED를 중심으로 웨어러블에서 1등을 달성할 목표다. 최근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자동차용과 폴더블 디스플레이 시장도 앞선 OLED 기술을 바탕으로 주도권을 잡겠다는 구상이다.

    LG디스플레이가 이처럼 OLED사업 강화에 나선 까닭은 LCD로는 구현할 수 없는 새로운 디스플레이 성능과 디자인을 시장이 요구하면서 차세대 디스플레이인 OLED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LG디스플레이의 이번 결정에 따라 35조5000억원에 이르는 생산유발 효과와 13만명의 직∙간접적 고용 창출이 일어날 것으로 점쳐진다. 재료 부품과 장비와 같은 전후방 산업 발전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한상범 LG디스플레이 사장은 "미래 디스플레이 시장 선점을 위해 시장의 판도를 바꿀 게임 체인저(Game Changer)로 OLED를 선정하고 미래 성장 동력으로 집중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지난달 발표한 '수출 경쟁력 강화 대책'을 통해 OLED를 차세대 수출 유망품목으로 선정했다. 이번 대책에는 'OLED 제조장비 할당관세 지정', 'OLED 원천기술 R&D 세액공제 일몰연장' 등의 정책과, 내수 진작을 위한 'OLED TV 개별소비세 폐지' 등 정부 차원의 다양한 지원책이 담겨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