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 외채 1년만에 증가세 반전
  •  

     

    우리나라가 해외에서 받아야 할 대외 채권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1일 내놓은 '2015년 6월 말 국제투자대조표(잠정)'에 따르면, 6월 말 현재 대외채권은 7119억 달러로 3월 말보다 302억 달러 늘었다.

     

    이는 관련 통계가 나온 이후 가장 많은 것이다.

     

    외국에 갚아야 할 대외 채무는 4206억 달러로 3월 말보다 17억 달러 증가했다.

     

    이중 만기 1년 이하의 단기 외채는 1212억 달러로 84억 달러 늘어 지난해 2분기 이후 1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이 기간 외국은행 국내지점이 해외 차입을 늘린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총 외채 중 단기 외채의 비율은 3월 말 26.9%에서 28.8%로 1.9%포인트 상승, 지난 2013년 2분기 말 29.2% 이후 2년 만에 가장 높았다.  


    단기 외채의 비중은 경상수지·외환보유액과 함께 국가의 대외 지급능력을 측정하는 3대 지표로 꼽힌다. 만기 1년 미만의 회사채, 차입금 등은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때 한꺼번에 빠져나갈 수 있기 때문.

     

    단기적인 대외 지급능력을 나타내는 외환보유액 대비 단기 외채 비중도 31.1%에서 32.3%로 상승했다.

     

    전체 채권에서 채무를 뺀 순대외 채권 잔액은 2914억 달러로 3월 말보다 285억 달러 늘어나면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6월 말 현재 우리나라의 대외투자(금융자산) 잔액은 1조1425억달 러로 3월 말보다 384억달러 늘었다.

     

    이는 증권투자(주식 73억 달러, 채권 101억 달러)와 외환보유액(120억 달러), 해외 직접투자(87억 달러) 등이 늘어난 영향이다.

     

    외국인투자(금융부채) 잔액은 1조83억 달러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금융자산에서 금융부채를 뺀 순국제투자 잔액은 1342억 달러로 3월 말(805억 달러)보다 537억 달러 늘면서 역시 사상 최대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