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기업 구조조정이 코 앞으로 다가왔다.
일단 채권단을 통한 기업 정상화 작업에 초점을 맞출 예정이지만 정부의 보이지 않는 손이 또다시 작용할 공산도 크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대표적인 공급과잉 업종인 조선, 철강, 석유화학, 건설, 해운 등을 주요 구조조정 산업으로 지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중 철강 산업의 경우 중국발 철강수요 둔화로 위기에 처한 만큼 빠르게 사업 재편에 나설 공산이 크다는 게 업계 분위기다.
실제 합금철 등 일부 품목이 과잉 설비, 판매가격 급락 등으로 수익성이 크게 악화됐다.
송재빈 한국철강협회 부회장도 “사업 재편을 위한 업계 의견 수렴 과정은 이미 끝냈다”며 “공신력 있는 외국 업체에 컨설팅을 의뢰해 국내 철강업계 경쟁력 진단 및 해외공급 현황을 조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철강업계가 사업 재편에 나서면 정부의 시선은 조선, 화학 등으로 돌릴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조선해양플랜트협회, 석유화학협회는 한국철강협회와 같이 업계 의견조차 취합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이유는 오너가 확실한 기업의 경우 구조조정에 동의하지 않는 한 정부 생각대로 사업 재편을 이루기 힘들기 때문이다.
석유업계 관계자는 “정부는 기업이 자율적으로 구조조정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에 그쳐야 한다”며 “정부가 말하는 공급과잉 판단기준에는 해당 산업의 미래 성장 가능성이 빠져 있어 강제로 구조조정을 실시했을 때 이에 따른 부작용도 상당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