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우조선해양, 현대상선, 한진해운의 은행권 대출 규모가 약 25조원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 은행권 대기업 부실대출 규모의 80% 이상 해당하는 수치로 본격적인 구조조정에 착수할 경우 대기업 부실대출 규모는 2배 이상 늘어날 전망이다.
2일 업계에 따르면 대우조선해양, 현대상선, 한진해운의 은행권 부실대출 비중은 3월말 기준 총 24조8035억원에 달했다.
이 중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농협은행 등 특수은행의 대출 규모가 88.5%로 대부분을 차지한다.
수출입은행이 대우조선해양에만 12조7317억원의 대출을 지원했으며 산업은행은 대우조선해양에 6조3109억원, 한진해운은 7182억원, 현대상선 3910억원 등 3개 기업에 총 7조4201억원의 자금이 묶여 있다.
국책은행 2곳이 3개 기업에 묶인 자금만 20조원에 달한다. 이미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섰기 때문에 정부의 지원만 바라고 있는 실정이다.
국책은행은 아니지만 농협은행도 마찬가지 상황이다.
농협은행은 대우조선해양에 1조4947억원, 현대상선 758억원, 한진해운 761억원 등 총 1조6466억원의 자금을 지원했다.
농협은행은 올해 1분기 대규모 충당금을 쌓았지만 추가 자금 투입이 필요하다.
이에 농협은행은 농협금융지주와 경영진 회의를 열고 임금삭감 방안 등 자구안 마련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시중은행은 국책은행보다 여유가 있는 편이다.
시중은행이 대우조선해양, 현대상선, 한진해운 등에 묶인 자금은 총 2조8620억원이다.
국책은행에 비해 1/10 수준이지만 이들 기업이 본격적으로 구조조정에 들어갈 경우 부실은 전이될 것이란 게 전문가 견해다.
이유는 은행권이 아직까지 이들 기업과 관련된 대출을 정상으로 분류해 놓았기 때문이다.
즉, 이들 기업이 본격적인 구조조정에 들어갈 경우 정상이었던 대출이 고정이하여신으로 분류돼 그만큼 충당금을 더 쌓아야 된다.
시중은행 중 부실위험이 높은 곳은 KEB하나은행이다.
대우조선해양에 8649억원, 한진해운 862억원, 현대상선 589억원 등 총 1조100억원의 자금을 지원했다.
최근 KEB하나은행이 1분기 호실적을 달성하고도 본점 매각 등 부동산 매각에 나서는 이유도 향후 발생한 리스크에 대한 대비책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