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 용품 대신 천연제품 인기는 올라가…살생제품은 주의 필요…일반 생활용품은 문제 없어
-
화학물질 생활용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안이 확산됨에 따라 관련 제품 매출이 전반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소비자들이 일반적인 생활용품에 대해서는 막연한 공포심을 갖기보다는 상식적인 범위에서 사용하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다만 살충제·살균제 등 살생 성분이 든 제품에 대해서는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 화학성분 생활용품 매출은 떨어지고…천연제품 인기는 올라가고
가습기 살균제 사건의 파장이 계속되면서 표백제와 제습제, 방향제 등 여러 화학성분 생활용품의 매출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천연원료를 활용한 친환경 제품을 찾는 소비자는 늘고 있다.
롯데마트에서는 지난달 18일부터 이달 3일까지 표백제 매출이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22.6% 감소했다. 탈취제와 방향제도 각각 16.8%, 15.0% 매출이 줄었다.
섬유유연제(-14.3%), 제습제(-4.6%)도 마찬가지였다. 이마트에서는 지난달 18일부터 이달 11일까지 표백제와 제습제 매출이 각각 38%, 44% 급감했다. 또한 세탁세제(-19%), 방충제(-7%), 섬유유연제(-15%), 탈취제(-18%), 방향제(-19%) 등도 매출도 줄줄이 줄었다.
상황은 온라인쇼핑사이트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옥션에서는 같은 기간 방향제(-8%), 살충제(-5%), 제습제(-7%), 탈취제(-32%) 등의 매출이 감소했다. 티몬에서는 지난달 18일부터 이달 11일까지 세제나 방향제 등 화학제품들의 전체 매출이 전월 동기 대비 약 27% 감소했다.
가장 많이 감소한 품목은 섬유유연제(-34%)였으며 손세정제와 청소세제는 각각 31% 줄었다. 방향제와 주방세제도 각각 27% 감소했다. 반면에 친환경 제품은 매출이 증가세다.
베이킹소다가 26% 늘었으며, 순식물성 천연원료로만 제작된 주방·세탁 세제도 매출이 30% 이상 큰 폭으로 늘었다. 이처럼 소비자들은 옥시 사태로 인해 화학제품 전반의 구매를 꺼리고 있다.
당국이 화학제품에 대한 관리 강화에 나섰지만 불안은 쉽게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조 모(27·여) 씨는 "화학물질을 사용하기보다는 베이킹파우더로 집에서 직접 세제를 만들어서 쓰는 등 신경을 써야 할 것 같다"며 "아직 아이도 낳지 않았는데 화학물질 사용이 불임이나 난임 등으로 이어지진 않을지 걱정된다"고 우려했다.
▲ “살생제품은 주의 필요하지만 일반 생활용품은 문제없어…"
이번 사태를 계기로 정부 당국과 제조업체들이 앞장서 소비자 불신을 가라앉히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화학성분이 함유된 생활용품 사용을 무조건 배제할 수 없는 만큼 합리적인 사용을 유도하는 캠페인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현실적으로 화학제품을 사용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에서 가능하면 신체 접촉을 줄이고 자주 환기하는, 최소한의 주의 조치가 절실하다는 것이다.
이종현 환경컨설팅사 EHR&C 환경보건안전연구소장은 "의약외품으로 분류된 제품들은 사전 안전성 점검이 된 제품이기 때문에 문제없이 사용해도 된다"며 "다만 살균제와 방충제 등 살생 제품은 아직 사전허가제 도입이 되지 않은 상태여서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한 국립환경과학원 관계자는 "지나친 공포심을 가지기보다는 소비자 스스로 주의해서 제품 본연의 목적에 맞춰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에어로졸처럼 들이마실 수 있는 등 인체에 쉽게 노출되는 제품에 대해서는 특히 안전에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근본적으로는 유해성 물질 관리와 제품 출시에 대한 더욱 철저한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종현 소장은 "아직 모든 제품의 안전성이 충분히 점검되고 확인됐다고 보기는 어렵다"며 "제품이 출시되기 전에 정부나 기업체가 안전성을 확실하게 검증해 확인되는 과정이 있어야 불신이 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용화 성균관대 초빙교수는 "생활 주변에 굉장히 다양한 화학물질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일일이 위해성을 평가해야 하는 것이 맞다"며 "관련 법이 미비돼 면밀하지 못한 점이 있으므로 원천적으로 정부와 국회가 이 부분을 바로잡아야 한다"고 말했다.
가습기 살균제 사건을 계기로 환경부는 살생 성분이 함유된 제품의 관리체계를 기존의 사후관리 방식에서 사전관리 방식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환경부는 안전성을 입증하지 못하는 살생물 제품을 단계적으로 퇴출시키고 신규 제품은 안정성을 인증받은 후 출시하는 제도 도입을 검토할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다림질 보조제 등 위험 성분이 함유돼 있지만 법률상 관리를 받지 못하는 품목은 우려제품으로 추가 지정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