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은행 민영화가 다시 개막했다.
이번 금융당국의 우리은행 매각방안은 정부의 개입을 최소한 억제하는 대신 진성투자자들의 경영자율권을 보장해 줌으로써 어느 때보다 민영화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하지만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란 고민은 여전히 남아 있어 이에 대한 고민도 감출 수 없는 게 현실이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우리은행 민영화 방식으로 과점주주체제를 선택했다.
예보 보유 지분 중 30%를 4~8%씩 희망수량 경쟁입찰 방식으로 매각하며 또한 4% 이상 낙찰 받은 투자자에 대해 사외이사 추천권을 주고 예보의 경영정상화이행약정(MOU)를 해지함으로써 정부의 경영 불개입 및 과점주주들에 의한 자율경영을 보장한다고 밝혔다.
그동안 4차례의 매각시도 무산 사례를 경험으로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보다 조기 민영화로 방향을 선회한 것이다.
윤창현 공적자금관리위원장은 “이번 과점주주 매각 방안은 현 시점에서 민영화 3대 원칙을 충족시키는 유일한 대안”이라며 “경영에 참여하려는 다양한 과점주주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경영권 매수 수요의 부재, 막대한 자금부담 등을 감안할 때 과점주주 매각 방식이 현실적”이라고 말했다.
실제 금융당국은 이번 지분 매입에 참여하는 투자자들에게 사외이사 선임권을 주며 정부의 개입 없이 경영자율권을 보장해 투자 매력을 더욱 높였다.
이로써 매각 지분 30%를 투자자 4~7곳이 나눠 가지며 우리은행 경영을 민간주도로 이끌어 나갈 발판이 조성됐다.
하지만 이번 우리은행 매각방식이 온전한 민영화 성공이라 칭하긴 어렵다.
아직 공적자금 회수라는 문제를 계속 떠안고 가는 만큼 우리은행 주가 상승이 큰 관심거리인 건 여전하다는 것이다.
현재 22일 종가 기준 우리은행의 주가는 1만250원에 머물고 있다.
공적자금 회수율 기준으로 봤을 때 매각 적정 주가는 1만2800원으로 현재 우리은행 주가와 괴리가 있다.
금융당국이 매각 적정주가를 고수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비가격요소도 일부 반영하겠단 뜻을 밝힌 만큼 경영권 프리미엄도 일부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결국 이번 우리은행 매각 발표로 11월 입찰마감까지 조금이라도 주가 상승을 기대한다는 속내다.
일각에선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우리은행 잔여 지분 20%는 하나금융지주 수준까지 올라야 모두 팔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업계 관계자는 “상장 금융사 중 정부가 개입한 은행은 사상 최대 순익을 거둬도 2만원대를 돌파하지 못하고 있다”며 “금융당국이 선 민영화, 후 공적자금 회수를 선택했어도 시가총액으로 하나금융지주는 넘어야 잔여 보유지분을 팔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나금융지주의 시가총액은 8조2000억원에 달한다. 반면 우리은행은 6조9290억원으로 사상 최대 순익을 달성하고도 주가 흐름은 저조한 상황이다.결국 과점주주 형태로 민영화 첫발을 내딛어도 가야할 길은 아직 멀다는 얘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