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몽구 현대차 회장·김승연 한화 회장·김창근 SK 의장 등 조사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구본무 LG그룹 회장 등도 소환 대상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구본무 LG그룹 회장 등도 소환 대상
-
'비선 실세' 최순실의 국정농단 의혹 여파가 재계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13일 검찰에 따르면 지난 12일 오후부터 새벽 사이 정몽구 현대차 회장, 김승연 한화 회장, 김창근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 등이 검찰조사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나머지 총수들에 대해서도 비공개 소환조사가 이뤄질 것으로 전해지면서 재계 분위기는 급속도로 냉각되고 있다.
이번 소환 대상자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비롯해 구본무 LG그룹 회장 등도 포함돼 있어 사실상 국내 재계 10대 기업 총수가 소환 대상인 셈이다.
권오준 포스코 그룹 회장은 이미 지난 11일 대기업 총수 가운데 처음으로 검찰에 출석해 조사를 받았다. 최순실 최측근인 문화계 황태자 차은택씨의 광고계열사 포레카 강탈 의혹 등에 초점이 맞춰졌지만, 미르·K스포츠재단에 49억원을 출연한 것과 관련해서도 조사를 받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미르·K스포츠재단에 현대차 128억원, LG 78억원, 한화 25억원, SK 111억원, 한진 10억원, 금호아시아나 7억원, 부영 3억원, LS 16억원 등을 출연했다는 점에서 이들 기업 총수들의 소환 조사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특히 삼성의 경우 이들 두 재단에 가장 많은 204억원을 지원한 것과 별개로 최씨의 딸 정유라씨에게 맞춤형 지원을 했다는 정황이 포착돼 강도 높은 조사가 예상된다. 관련해서 박상진 삼성전자 사장이 이미 조사를 받았다.
검찰이 총수들에 대한 소환 조사에 나서자 해당 기업들은 검찰과 여론의 움직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특히 내부적으로 법무팀을 중심으로 대응책 마련에 나서는 등 분주한 모습이다.
대기업 관계자의 전언에 따르면 해당 기업들은 내부적으로 "우리도 피해자", "억울한 상황" 등을 호소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여론을 고려했을 때 이를 대놓고 말할 수 없어 속앓이 중이다.
한편 대통령과 재계 총수들의 만남 이후 실질적으로 자금 지원 행위가 벌어졌다고 하더라도 이를 형사처벌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린다.
과거 제5공화국 시절 '일해재단' 사건 때도 비슷한 상황이 벌어졌지만, 대가성에 대해 입증하지 못해 대기업들이 처벌 대상에서 제외된 바 있기 때문이다.
재계 관계자는 "검찰이 내놓은 수사결과와 무관하게 재계 총수 소환만으로도 기업은 이미지 실추를 비롯한 투자 축소, 신뢰도 저하 등 막대한 피해를 받는다"라며 "일단 소환하고 보자는 안일한 생각보다 사회에 미칠 직·간접적 영향 등을 고려해 소환조사가 진행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