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퇴출 권고 제품 조치 늦어

  • "오픈마켓은 판매중개채널이기 때문에 판매자들의 상품을 함부로 내릴 수 없다",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지만, 인력이 부족해 100% 거르는 것은 어렵다. 다음부터는 모니터링 인력을 대폭 확충하겠다."

    옥시레킷벤키저(이하 옥시)의 사과
     이후 200일이 지났지만 오픈마켓은 당시 약속했던 옥시제품 판매 중단 및 위해상품 판매 차단은 잊은 체 변명만 되풀이하고 있다. 

    2016년 5월 2일. 가습기·살균제 사망 사건 발생 이후 무려 5년 만에 옥시가 고개를 숙였고, 국민들은 분노했다.

    환경보건시민센터에 따르면 옥시 제품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239명, 후유증에 시달리는 인원까지 포함할 경우 총 1528명에 달한다. 그야말로 대참사였다.

    각종 신문과 뉴스 1면은 옥시와 관련 이슈로 도배됐고 유통 판매채널은 즉각적인 옥시 퇴출 및 향후 위해상품판매 차단 시스템을 도입하겠다며 국민 여론에 반응했다.

    그 후 200일이 지난 11월 17일 현재. 오프라인 매장(대형마트, 편의점)과 달리 오픈마켓은 이 약속을 벌써 잊어버린 모양이다.

    오픈마켓은 옥시 제품 퇴출은 물론 위해상품판매 차단에 대한 뚜렷한 가이드라인도 마련하지 못하고 있었다.

    G마켓·11번가·옥션 등 대부분의 오픈마켓에선 지금도 여전히 옥시 제품을 판매중이다. 

    이들 업체에서 검색어 서비스는 중단했지만, 제품 자체를 퇴출시키지 못했기 때문이다.

    실제 '세제', '탈취제' 등 카테고리 별로 검색하거나, 옥시의 제품인 '물 먹는 하마'를 줄여 '하마'만 검색해도 옥시 제품은 첫 페이지부터 쉽게 볼 수 있다. 단순히 몇 자만 줄여 검색하면, 구매하는 데 아무 어려움이 없는 것이다. 

    더 심각한 문제는 정부가 퇴출 권고를 내린 제품들 역시 기자들의 취재 이후에나 상품을 내릴 정도로 느릿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오픈마켓은 '가습기 살균제 성분 검출 치약', '위해우려제품 11종' 등 식약처 및 환경부로부터 판매 중단과 회수 조치 명령이 내려진 이후에도 판매를 지속하다 언론의 뭇매를 맞은 적이 있다.

    오픈마켓은 늘 이러한 문제가 불거질 때마다 변명이 앞선다.

    그러나 오픈마켓이라도 정부의 판매 중단 처분을 무시할 수 없으며, 불법 제품을 팔아도 안 된다. 이들의 해명은 단순 변명에 불과하다.

    옥시 사태 이후 위해상품판매 중단을 천명한 오픈마켓은 현재 딱 이 정도의 약속을 지키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온라인 쇼핑 시장은 지난
 2001년 3조3471억원에서 지난해 53조9340억원으로 17배가량 급속도로 신장했다.

사회에 미치는 파급력도 강해진 만큼 오픈마켓은 이제 도덕성도 갖춰야 할 때다.

기자는 지난 5월 기자간담회 현장에서 치가 떨리는 분노를 느꼈다. 200일이 지난 오늘도 오픈마켓이 이런 자세로 꿋꿋하게 제품을 판매한다면, 제2의 옥시 사태가 일어나지 말라는 법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