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P "20년 뒤 전체 LNG 물량 절반이 해상으로 수송" 전망LNG 수요·해상 교역량 확대, LNG 선박·관련 설비 발주로 이어져
  • ▲ ⓒ현대중공업
    ▲ ⓒ현대중공업

    친환경 에너지를 사용하는 세계 추세에 따라 조선 업계가 적잖은 특수를 누릴 전망이다. LNG(액화천연가스) 수요와 교역량이 최소 20여 년간 성장한다는 전망이 잇따르고 있는 것.

    LNG 선박 및 설비 건조에 강한 경쟁력을 가진 국내 조선사가 현재 일감 공백만 견디면 2년 뒤에는 호황을 맞이할 수 있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는 이유다.

    15일 업계와 외신에 따르면 글로벌 석유회사 BP는 최근 '에너지 아웃룩 2017'(Energy Outlook 2017)' 보고서를 발표하며 "전 세계 LNG 해상 교역량이 빠르게 늘어 약 20년 뒤에는 전체 LNG 물량의 절반이 해상으로 수송된다"는 관측을 내놓았다.

    BP는 "LNG 해상 교역량이 가스관을 통한 거래량보다 7배나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면서 "전체 교역량 중 해상수송이 차지하는 비중이 현 32%에서 2035년에는 50%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BP는 이전 보고서를 통해 2030년께 LNG가 석탄을 제치고 석유에 이어 2위 에너지공급원이 될 것으로 점치기도 했다.

    BP에 따르면 석유에 대한 의존도기 점차 떨어지면서 이런 추세대로라면 30∼40년 뒤에는 LNG가 최대 에너지공급원이 될 가능성이 크다.

    LNG 수요와 해상 교역량 확대는 LNG 선박과 관련 설비 발주로 이어질 전망이다. 대표적으로 LNG선(LNG 운반선)과 LNG 추진선,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FLNG),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저장 재기화 설비(FSRU) 등이 꼽힌다.

    이렇게 된다면 LNG분야와 관련해 세계 최대 경쟁력을 갖춘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국내 조선 '빅3'의 장기간 대규모 수주가 가능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업계는 지난해 얼어붙었던 LNG선 발주 시장이 올해 말부터 점차 풀려 2019년부터 발주가 쏟아질 것으로 기대하는 분위기다. 2014∼2015년 발주된 100척 이상의 LNG선이 건조가 끝나 올해까지 차례로 인도되고, 2020년경 호주, 동아프리카 지역의 해저 가스전 본격 가동에 따른 LNG 대량 생산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규제 강화도 선박 발주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이 규제에 따라 모든 선박들은 2020년부터 황산화물(SOx) 함유 비율이 낮은 선박용 경유(MGO)나 LNG를 연료로 써야 한다. 이 영향으로 업계는 LNG 추진선의 발주도 함께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선박 중개업체인 브레마(Braemar)는 지난달 영국 런던에서 열린 '국제 해운 콘퍼런스'(London International Shipping Week)에서 LNG선 발주가 2019년 최소 20척을 시작으로 그 뒤로는 매우 활발해질 것이라 전망했다.

    글로벌 LNG선 발주 시장에서는 한국 조선사들이 2015년에는 총 29척 중 15척, 작년에는 6척 모두 따내는 등 압도적인 우위를 나타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LNG선 발주 회복세가 아직은 체감되지 않지만 내년부터는 본격화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1∼2년의 보릿고개를 무사히 넘기면 국내 조선사들이 모처럼 큰 일감을 노려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