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3건 신고접수에도 뒤늦은 확인… 해당 업체와 유착 의심"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생리대 안전성에 대한 불안이 높은 가운데 중국산 생리대 5000만개가 밀수된 것으로 드러났다.

    1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성일종 의원(자유한국당)에 따르면 지난달 26일 식약처가 생리대 제조업체 한국다이퍼에 대해 내린 밀수입 무허가 생리대 판매금지 및 회수조치명령을 내렸다.

    조사결과 해당 제조사 생산 제품 127개 품목 중 82%에 해당하는 104개 품목의 밀수가 확인됐다. 밀수 사실이 확인된 지난 2013년 7월부터 계산하면 생산량만 5000만개가 넘는 규모다.

    문제는 밀수에 대한 제보가 지난해에 이미 이뤄졌음에도 식약처의 조치가 늦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해당 기업이  '허가 받지 않은 장소에서의 제조가 의심 된다'는 내용으로 국민신문고를 통해 식약처에 3건의 신고가 접수되고, 동일하게 관세청에도 신고됐다.

    제조 공장을 찾아 확인한 결과 계약을 맺은 생리대를 제대로 생산할 수 없는 기계 몇 대에 불과한 수준이었고, 중국산 생리대의 원산지를 세탁하기 위한 공장으로 밝혀졌다.

    성 의원은 "식약처가 본격적으로 움직이기 시작한 것은 내가 직접 자료를 요구하면서부터"라며 "피해 업체들을 불러 신고 내용을 재확인하고 수사 기능이 있는 위해사범중앙조사단에서도 수사에 나섰고, 자료 요구부터 밀수가 확인되고 수사가 마무리되는데까지 5일이 걸렸다"고 설명했다.

    이어 성 의원은 "2013년 7월부터 생산된 거의 전 품목이 밀수라는 사실은 담당 공무원과 해당 업체의 유착 없이는 설명이 힘들어 보인다"며 "나머지 23개 품목에 대해서도 식약처 허가대로 제조가 됐는지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