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배출권·산업용 전기료 인상·지역자원시설세 등 기업부담 가중내년 건설경기 전망 및 원재료 상승도 부정적
  • ▲ ⓒ뉴데일리
    ▲ ⓒ뉴데일리



    2018년 무술년 황금개띠의 해, 시멘트·레미콘업계는 각종 규제로 '가시밭길'이 예고된다. 탄소배출권, 산업용 전기료 인상 등으로 기업의 비용 부담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부터 이중과세 논란을 일으켰던 지역자원시설세의 경우 올해 국회에서 통과되지 못했지만, 내년에 있을 지방선거 등을 고려할 때 업계에 대한 압박은 더욱 거세질 것으로 전망된다. 내년부터 건설경기가 한풀 꺾일 것이라는 전망까지 있어 향후 시장 전망도 불투명하다.

    28일 뉴데일리경제는 2018년 시멘트·레미콘업계의 주요 뉴스를 전망해봤다.

    내년 시멘트·레미콘업계는 탄소배출권, 전기료 인상 등으로 비용 부담이 커질 전망이다. 탄소배출권의 경우 정부가 3년 단위로 계획기간을 잡고 배출권 할당에 나선다. 하지만 올해는 정부의 친환경 정책 등으로 계획이 늦어지면서 2018년 할당 계획만 나온 상태다. 최근 톤(t)당 2만1800원선으로 형성된 배출권 가격은 불확실성이 커짐에 따라 더욱 폭등할 수 있다. 특히 탄소배출권을 확보하지 못한 기업들에게는 배출권 가격의 3배에 달하는 과징금이 부과돼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산업용 전기료 인상도 기업부담의 한 축을 담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내년부터 산업용 심야 전기료 인상을 계획하고 있다. 전기료 인상 폭에 따라 업계에 전가되는 비용부담도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오후 11시부터 오전 9시까지 사용하는 전기는 약 40% 수준의 할인 혜택을 받고 있는데, 할인 폭을 10%만 줄여도 연간 5000억원 규모의 부담이 기업에 가중될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국회에서 통과되지 못한 지역자원시설세 문제는 시한폭탄과 같다. 지역자원시설세는 시멘트 톤당 1000원의 세금을 부과하겠다는 것인데, 해당 세율이 적용될 경우 지난해 시멘트 생산량 5674만t 기준 연간 567억원의 비용 부담이 업체들에게 전가된다. 업계에서는 이미 원재료인 석회석에 세금이 부과되고 있는 만큼 세법 원칙에 어긋난다는 주장이다. 기업부담이 늘어나면 기업의 고용 감소 등 부작용을 낳게 된다.

    시멘트 생산원료인 유연탄 가격이 상승하고 있다는 점도 예의주시해야 한다. 최근 유연탄 가격은 톤당 100달러를 상회하고 있다. 유연탄 가격은 시멘트를 생산하기 위한 에너지 비용에 포함되는데, 시멘트 산업에서 에너지 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은 생산원가의 50% 이상이다. 기업 입장에서는 에너지 비용을 감소시켜야 수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데, 유연탄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면 수익성 하락으로 직결된다.

    업계에서는 폐자원을 활용해 생산 에너지를 대체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그 비중이 높지 않다. 기업 입장에서는 시멘트 단가를 인상하는 방법으로 위험 요인을 완화할 수 있지만 이마저도 건설사 등의 눈치를 봐야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악순환이 반복될 경우 제품을 팔수록 마이너스가 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레미콘업계는 올해 바닷모래 부족 현상의 여파가 내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올해 부산·경남 지역 등에 위치한 약 150개 레미콘공장이 약 5일간 가동 중단에 들어가는 위기에 직면했다. 어민들이 바닷모래 채취로 바다 생태계가 파괴되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상황이 악화되고 있는 것. 사실상 내년까지 지속될 모래 부족 현상은 골재 단가 인상으로 이어져 기업의 부담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 올 초 ㎥당 1만원대 가격을 형성했던 모래가격은 3만~4만원선까지 등락을 반복하며 단가 인상을 부추기고 있다. 이날 국토부가 발표할 골재수급 안정화 대책에 따르면 2022년까지 바닷모래 공급비중을 5% 수준으로 감축하겠다는 것이 골자다. 때문에 내년에도 바닷모래 부족은 더욱 심각해질 전망이다. 

    각종 악재 속 시장상황도 긍정적이지 못하다. 최근 몇 년간 지속됐던 건설경기 호조도 내년부터는 한풀 꺾일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내년도 국내 건설수주 예상치는 133조원으로 전년 대비 15%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 건설경기 호조에 힘입어 실적 반등에 성공한 업체들은 시장 침체 가능성에 벌써부터 대비하는 모습이다. 정부가 내년부터 공공임대주택 100만호를 5년에 걸쳐 공급하겠다고 약속했지만, 1년에 20만호 수준의 물량이 많은 것은 아니라는게 업계의 중론이다.

    기업 입장에서는 내년에 실적 상승을 이끌 긍정적인 신호들이 전혀 없는 상태다. 경기 하락 전망에 각종 규제 등으로 국내 시멘트·레미콘업계의 2018년은 그 어느 때보다 어려운 시간이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