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년 조선·철강업계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일 전망이다. 일감부족이 본격화되는 조선업계는 올해보다 더 어려운 한 해를 맞이하게 되는 반면, 제품 가격이 지속 상승하는 철강업계는 역시 수익성 확대가 예상된다. 다만 미약하게나마 회복세에 있는 조선 시황은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고, 내수 부진과 주요 수출국에서 거세지는 보호무역주의 바람은 철강사들 실적 회복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28일 뉴데일리경제가 2018년 조선 및 철강업계 주요 뉴스를 전망해봤다.
◇ 조선업계, 미미한 시황 회복 속 일감부족 찬바람은 지속
수주한파 속에 떨고 있는 조선업계는 내년에도 찬바람이 거세게 불어닥칠 전망이다. 2016년 수주절벽이 내년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치면서 일감부족이 지속 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산업연구원은 '2018년 11대 주력산업 전망'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2018년 조선업계 건조량이 올해 대비 31.8% 감소한 730만CGT에 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2016년 수주절벽의 현실화로 건조량이 크게 줄어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내년 수출액 또한 39.8% 감소한 249억8000만 달러에 그칠 것이라고 예상했다. 상선 인도물량의 지속적 감소, 고가 생산설비 해양플랜트의 통관 완료 등을 부정적 요인으로 꼽았다.
KDB산업은행 역시 이와 유사한 전망을 내놨다. 산업은행은 지난 21일 '2018년 경제·금융·산업 전망' 책자를 발간하며, 내년 조선업계 건조량이 올해 대비 25.1%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시황 회복에 힘입어 수주량은 5.8%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대해 산업은행은 "내년 수주량은 소폭 증가하겠으나, 건조량에 비해 부족해 수주잔량은 지속 감소할 것"이라 설명했다.
국내 조선업계가 이같은 한파를 겪게 되는 것은 지난 2016년 수주절벽 영향이 크다. 통상적으로 수주 후 건조가 시작되기까지 1년 6개월에서 2년 정도 걸리는데, 내년이 2016년 수주가 본격적으로 반영되는 시기이기 때문이다.
긍정적인 점은 미약하게나마 시황 회복이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다. 올해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등 국내 대부분 조선사들은 수주 목표를 채워, 내후년 일감 부족 해소를 기대케 하고 있다.
여기에 2020년 국제해사기구(IMO)가 강화된 환경규제를 적용할 방침이라, 국내 조선사들이 강점을 갖는 LNG 추진선 발주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 또한 내년 조선 업황 회복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요인으로 꼽힌다. -
◇ 철강업계, 中 구조조정 안착에 철강價 지속 상승 전망...수요부진·보호무역은 걸림돌
올 한해 실적 개선을 이뤄낸 국내 철강업계는 내년에도 수익성 확보에 나설 전망이다. 중국 구조조정에 따른 수입 감소가 철강재 가격 상승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은 제13차 5개년 개발규획 기간 동안 총 1억5000만톤의 철강 생산능력 감축목표를 세웠다. 이에 따라 첫 해인 지난 2016년에는 6500만톤에 달하는 설비를 폐쇄했고, 지난해에는 5000만톤 이상을 생산능력을 축소했다.
중국 정부는 아직 내년 감축 목표를 밝히지 않았다. 그럼에도 정부의 산하기관인 야금공업규획연구원이 2018년에도 철강 생산능력의 감축이 지속될 것이라고 밝힌 만큼, 설비폐쇄는 내년에도 계속될 전망이다.
철강재 가격 상승에도 불안 요인은 있다. 좀처럼 회복세를 보이지 못하는 수요산업 부진과 세계적으로 거세지고 있는 보호무역주의 바람이다.
포스코경영연구원(POSRI)은 지난 11월 발표한 전망자료를 통해 내년 국내 철강재 내수는 올해 대비 1.0% 증가한 5678만톤을 기록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올해 철강재 수요를 견인했던 건설경기의 둔화가 미약한 증가폭을 보이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수출은 수입 규제에 따른 강관 수출 둔화로 0.6% 증가한 3255만톤을 예상했으며, 생산은 판재류 중심으로 2% 가량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앞서 포스코경영연구원에서 밝혔다시피 점차 거세지는 보호무역주의 바람은 실적 개선에 적잖은 영향을 끼칠 전망이다. 우선 세아제강, 현대제철 등 북미시장을 주력으로 하는 강관사들은 다음달 중순에 발표되는 무역확장법 232조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무역확장법 232조가 적용된다면 강관 주력 시장인 북미로의 수출은 큰 타격을 받게 되고, 이는 곧 매출 감소로 연결될 가능성이 크다.
설령 무역확장법 232조를 피해간다 하더라도 안심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 인도를 비롯한 주력 수출국에서 수입 규제를 강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내년 실적 호조를 이어가려 하는 국내 철강사들에게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는게 다수 전문가들의 의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