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자료 실시간 처리 등 원스톱 운영시스템 구축30만㎡ 이상은 외주 용역 방침
-
국토교통부가 무인비행장치(드론) 산업 활성화를 위해 이르면 다음 달부터 공공 토지·주택 관련 업무에 드론을 도입한다.
연간 250억원 규모의 신규 드론시장이 열릴 것으로 전망된다.
국토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전국 215곳 LH 사업지구(389㎢·238조원 규모)의 조사·설계·공사관리 등 업무에 드론을 활용하고 앞으로 사용 범위를 확대한다고 3일 밝혔다.
LH는 그동안 시범운용을 통해 드론 활용을 검증해왔다. 앞으로 사업 후보지 조사와 보상 등 계획단계부터 설계·시공·유지관리·홍보 등 5개 분야 12개 업무에서 드론을 우선 활용할 계획이다.
계획 단계에서는 신규 사업지구 결정과 경계 설정을 위한 후보지 조사, 토지 수용·보상을 위한 현장 조사업무에 드론을 투입한다.
기존에는 토지보상을 위해 사업 초기 항공사진을 일회성으로 찍고 현장방문조사를 병행했지만, 앞으로는 드론으로 관련 영상자료를 수시로 확보한다.
LH 관계자는 "재작년 택지지구와 국가산단 등의 보상업무에 시범운영한 결과 험지 조사 등을 쉽게 할 수 있었다"며 "주민 공람 과정에서도 신뢰성을 높였다"고 했다.
설계 단계에서는 드론으로 찍은 영상자료로 3차원 지형모델을 만든다. 측량 프로그램을 통해 단면도 작성도 가능하다. 토목BIM(3차원 설계)을 구축할 때도 인력에 의존하던 측정을 영상기반 자료로 대체할 수 있다.
시공·유지관리 단계에서는 공사진행 상황 파악과 안전 점검 등에 드론을 활용한다.
아파트 등 주택공사에서는 접근이 어렵고 위험한 현장에 열화상 영상센서를 단 회전익 드론을 띄워 균열·파손 등 시설물 손상 여부를 파악한다.
-
LH는 세계 최초로 드론 정보 활용을 위한 원스톱 운영시스템도 구축한다.
운영시스템을 통해 드론 비행 사전승인, 지상관제 등을 시행한다.
사업현장에서 찍은 영상은 중앙통제실로 실시간 전송되고 GIS(공간정보시스템) 정보로 바뀌어 현장에 재전송한다.
부품·소모품에 대한 유지보수 체계도 구축해 기체 손실·고장 때 즉각 대응한다.
LH는 드론 시장 형성을 위해 30만㎡ 이상의 사업지구에서는 외주 용역으로 드론을 운용할 방침이다.
국토부와 LH는 전국 LH 사업현장에서 드론을 도입하면 연간 2500회쯤 비행 수요가 발생해 250억원(시공 154억원·자산관리 50억원·계획 12억원 등)의 신규 드론시장이 창출될 거로 추산했다.
항공촬영을 드론으로 대체하면 소요 비용이 현재 연 130억원에서 절반 수준(66억원)으로 줄 것으로 예상한다.
촬영사진 해상도는 50㎝ 수준인 항공사진보다 획기적으로 나아져 5㎝ 수준의 고해상도 자료가 확보될 것으로 기대한다. 날씨 영향을 덜 받아 운영 가능일도 80일에서 250일쯤으로 3배 이상 늘어날 전망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드론 도입으로 일자리 창출은 물론 업무 효율성 증대, 안전사고 예방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며 "다른 공공기관이나 민간 건설업계에도 드론 도입이 확산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