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0조1115억원…전체 예금에 46.0% 차지
-
지난해 은행 예금 가운데 가계예금 비중이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소득 증가세는 지지부진한데 갚을 빚은 많아 가계의 저축 여력이 줄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2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예금은행의 총예금 1305조5584억원 가운데 가계예금은 600조1115억원이었다.
전체 예금의 46.0%를 가계가 차지한 셈이다. 이 비중은 한은이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1975년 이래 최저 기록이다.
총예금 대비 가계 비중은 1990년대까지 60%를 넘나들었다. 그러나 2000년 들어 점차 떨어지더니 2007년(49.8%) 처음으로 50% 밑으로 내려갔다.
이후 하락세는 이어졌다. 2013년 49.7%로 반짝 상승하는 듯했으나 이듬해 바로 고꾸라졌고 4년 연속 내리막길을 걸으면서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가계예금 비중 하락은 가계가 주식, 펀드, 부동산 등 예금을 제외하고 다른 재테크 수단으로 눈을 돌린 영향이 있다.그러나 근본적으로는 가계 소득 증가세가 둔화하고 부채는 눈덩이처럼 불어나면서 가계가 돈을 모아둘 여력마저 줄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전문가들은 "가장 중요한 이유 중 하나는 고용 여건 악화 등 때문에 가계의 소득 여력이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지난해 가계의 소득에서 이자, 세금 등을 빼고 물가 상승분을 반영한 '실질처분가능소득'의 증가율(전년 동기 대비)은 작년 1분기 -3.1%, 2분기 -3.1%, 3분기 -5.1%, 4분기 -2.8%로 작년 내내 마이너스를 벗어나지 못했다.
반대로 가계부채 증가세는 지속됐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가계신용은 1450조8939억원으로 1년 전보다 8.1% 늘었다.
여기에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지난해 11월 6년 5개월 만에 인상하며 시장금리가 덩달아 상승, 가계의 빚 상환 부담도 커졌다.
이 때문에 지난해 총저축률은 1998년 이후 최고였지만 가계의 저축률은 7.9%로 2014년(7.3%) 이후 3년 만에 가장 낮았다.
가계예금 비중 축소는 기업 예금 비중이 늘어난 탓도 있다. 지난해 기업 예금 비중은 30.5%로 전년(30.9%)보다 줄었으나 그보다 직전 2년인 2014년(29.7%), 2015년(29.9%)보다 높은 수준이다.
연평균 기업 예금 비중은 1990∼1999년엔 25.5%, 2000∼2009년엔 26.3%로 전년 수준보다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