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대 국정감사에서 툴젠의 유전자가위 기술 가로채기 의혹이 도마에 오르면서 서울대 내부 감사 결과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국회 교육위원회는 23일 서울 여의도에서 서울대학교 등 국립대학법인에 대한 국정감사를 열었다.
툴젠의 유전자가위 기술 부당이전 의혹을 제기한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국감에서도 해당 의혹에 대한 질의를 진행했다.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는 유전자의 특정 부위를 잘라 유전자를 교정할 수 있는 기술이다. 유전자 결함이나 배열순서를 바꿔 혈우병, 황반변성, 유전성 실명 등 희귀 유전질환의 근본적 치료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되는 기술이다.
박 의원에 따르면 툴젠의 창업자인 김진수 기초과학연구원 유전체교정연구단장은 연구재단창의연구사업으로 29억 3600만원을 지원 받아 크리스퍼 기술을 완성했다. 김 단장은 지난 2013년 3월 세계적 학술지인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에 크리스퍼 기술 관련 논문을 게재했다. 이 보고서에는 연구재단의 지원이 70%라고 적시돼 있다.
국비로 연구해 얻은 기술의 특허 소유권을 서울대에 두지 않고 툴젠으로 돌아가도록 한 것은 '특허 가로채기'라는 게 박 의원의 지적이다.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논란이 일자 툴젠과 서울대 측은 정당하고 적법한 계약에 근거해 특허권을 툴젠에 이전했다고 해명한 바 있다.
특히 서울대는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기술을 1800만원 상당에 넘긴 이유에 대해 "일반적으로 기술이 사업화되기 이전에 그 가치를 평가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다양한 변수에 따라 가치가 유동적"이라며 "기술이전 시점(2012년) 특허의 가치가 수천억원에 달한다는 가정은 성립하지 않고, 서울대가 책정한 기술료가 낮다고 단정하기도 어렵다"고 설명한 바 있다.
박 의원은 "서울대가 툴젠에 기술료를 받았다고 하는 건 특허를 1852만 5000원이라는 헐값에 넘긴 것 아닌가"라고 물었다.
박찬욱 서울대학교 총장 직무대리는 "서울대학교가 기술료를 받았다"며 "(크리스퍼 기술) 관련된 특허가 3개가 있는데 2개에 대해서 도합 4000만원 정도 된다"고 답했다.
여기에 툴젠이 기부한 발전기금까지 합치면 100억 가까운 금액을 서울대에 제공한 셈이 된다. 툴젠은 지난 2011년 서울대 자연과학대학과 화학부에 각각 5만주씩 총 10만주의 주식을 발전기금 형식으로 이전했다. 코넥스에서 거래되는 현재 주가를 적용하면 약 92억원에 이른다.
박 의원은 "서울대가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지가 전혀 안 보인다"며 "경찰이 수사하겠다는데 협조도 안 해준다"고 질타했다.
이에 박 총장 직무대리는 "참고인 과정에서 경찰 수사과정에 협력했다"며 "민·형사상 권리 침해와 특허권 침해가 있다면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현재 서울대는 내부 감사와 전문 특허법인의 조사를 진행 중이다. 서울대 관계자는 "툴젠 관련 내부 감사와 조사가 진행 중"이라며 "결론이 언제 날 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툴젠 측은 감사와 관계 없이 코스닥 상장이전을 추진하고 있지만, 서울대 국감과 내부 감사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툴젠은 코넥스 시가총액 1위 기업으로, 지난 8월 코스닥 이전 상장을 위한 상장예비심사 청구서를 제출한 바 있다.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특허 논란이 불거지면서, 세 번째 코스닥 이전 상장도 고배를 마실 가능성이 높아졌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국감이나 서울대 내부 감사 결과에 따른 주가 영향은 불가피할 것"이라며 "최악의 경우 코스닥 상장 이전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기 때문에 예의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