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등수수료제' 도입 합의…구체적 실력행사는 조율 중
  • ▲ 금융공동투쟁본부 카드분과(카드노조)가 지난 12일부터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사 앞에서 정부의 획일적인 카드수수료 인하 정책에 반대하며 천막농성에 돌입했다.ⓒ뉴데일리
    ▲ 금융공동투쟁본부 카드분과(카드노조)가 지난 12일부터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사 앞에서 정부의 획일적인 카드수수료 인하 정책에 반대하며 천막농성에 돌입했다.ⓒ뉴데일리
    카드노조와 소상공인 단체가 카드수수료 조정 문제를 두고 서로 입장 차를 조율 중이다. 이르면 이달 중으로 공동 의견을 담은 목소리를 낼 전망이다.

    카드업계에 따르면 지난 21일 금융공동투쟁본부 카드분과(카드노조)와 한국마트협회 등 20여개 상인단체가 모여 카드수수료 인하 문제를 두고 논의를 진행했다. 

    이번 회의에서 차등수수료제를 기본 골자로 대형가맹점에게 더 많은 카드수수료를 걷어 영세 소상공인들의 우대수수료를 적용하는 방향으로 의견을 모았다. 이를 통해 영세소상공인의 보호 및 카드산업의 재정적 위기를 막자는 데 있다. 

    하지만 이번 회의에서 기자간담회·집단행동 등 구체적인 실력 행사에 대해서는 의견을 모으지 못했다.

    카드노조 관계자는 “소상공인 단체와 긴 논의 끝에 서로 간 차등수수료제 도입 취지에 대해서 적극 공감하고 그 필요성을 느꼈다”며 “하지만 기자간담회나 국회를 통한 입법 요청 등 그 실천 방안에 대해서는 계속 조율 중에 있다”고 말했다. 

    현재 금융당국에서도 카드수수료 적격비용 원가산정 결과 발표를 앞두고 숨 고르기에 들어간 상태다. 

    앞서 금융위원회는 11월 발표를 목표로, 지난달 22일 카드수수료 적격비용 원가산정 TF를 구성했다. 

    하지만 카드수수료 개편 발표를 앞두고 소상공인 단체의 대규모 집회에 이어 6개 카드사 노조 집행위원들의 더불어민주당사 앞 천막농성을 돌입하는 등 이해당사자 간 첨예한 대립이 계속 이어져 왔다. 

    이에 금주 내 발표가 가장 유력했던 금융당국의 카드수수료 개편안 발표가 이달 말로 미뤄질 가능성이 높게 됐다. 

    또한 이번 TF 구성부터 소상공인 입장을 대변할 중소벤처기업부도 참석하면서, 구성원 내 의견 조율에서도 많은 시간이 걸린 것으로 알려졌다. 

    정치권 역시 이번 수수료 개편안에 개입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현재 민주당에서는 민생연석회의 카드분과위원을 구성해 카드수수료 문제에 대한 정치권의 입장을 모으는 중이다. 정치권 의견 역시 카드수수료 산정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