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보험 인상률 30% 달해 … 4월부터 인상당국, 절판마케팅 우려 … 지난달 모니터링 강화업계 "소비자 선택권 축소 우려… 접근성 낮아질 수도"
-
- ▲ ⓒ연합뉴스
4월부터 무·저해지 상품 해지율 가이드라인이 적용되면서 보험사들이 일제히 보험료를 올리고 있다. 일부 상품의 인상 폭은 최대 30%에 달하며 소비자들의 부담도 함께 커지는 분위기다.◇대형 보험사 보험료 줄줄이 인상 …어린이보험은 최대 30%↑10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주요 손해보험사들은 4월 들어 무·저해지 보험 상품의 보험료를 조정했다.3대 진단비와 상해·질병 수술비 등 주요 담보가 포함된 간편심사보험 대표 상품 2종의 50·60대(대표 가입 연령) 남성 기준 보험료 인상률이 가장 높은 곳은 현대해상으로 나타났다. 뒤이어 △삼성화재(6.3%) △KB손보5.0%) △DB손보(4.1%) △메리츠화재(1.0%) 순이었다.같은 상품의 여성 기준 보험료는 DB손보가 7.6%로 가장 높았고 △현대해상(6.1%) △삼성화재(5.1%) △KB손보(4.4%)가 뒤를 이었다. 메리츠화재는 보험료를 10% 인하했다.어린이보험의 보험료 인상 폭은 더욱 컸다. 10세 남아 기준 보험료는 △삼성화재(27.9%) △DB손보(27.7%) △KB손보(25.0%) △현대해상(16.4%) △메리츠화재(4.1%) 순이었다. 여아 보험료도 삼성화재가 29.4%로 가장 높았고 △DB손보(27.5%) △KB손보(24.9%) △현대해상(20.4%) △메리츠화재(13.3%)가 뒤를 이었다.무·저해지 보험은 보험료를 낮추면서 계약 기간 중 해지할 경우 환급금이 없거나 일부만 지급되도록 설계된 상품이다. 일반 보험상품보다 10~40%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들의 선택을 받아왔다.보험개발원에 따르면 지난해 11월까지 국내 보험사의 무·저해지 상품 초회보험료는 1조253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0% 이상 급증했다.업계 관계자는 "해지율에 대한 보수적인 가정이 적용되면서 보험료 인상은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며 "중장기적으로 재무 건전성 개선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당국, 절판 마케팅 모니터링 강화 … 소비자 선택권 축소 우려도보험료 인상과 함께 보험사의 실적지표인 CSM(보험계약서비스마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IFRS17(새 국제회계제도) 도입 이후 CSM은 보험사의 수익성을 보여주는 핵심 지표로 꼽힌다.금감원은 지난달 보험업계에 회사별 무·저해지 보험상품 판매 현황을 하루 단위로 제출하라고 보험사에 요구했다. 특정일에 판매량이 급증할 경우 불완전판매가 있었는지 점검하겠다는 취지다.앞서 금융당국은 보험사들이 IFRS17 도입 이후 무·저해지 상품의 해지율을 높게 가정해 실적을 부풀리고 있다고 지적하며 해지율을 낮추는 계리가정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이로 인해 보험사들은 기존보다 보수적인 해지율을 적용하게 됐고, 기초 CSM 규모가 줄어들면서 실적 부담이 커졌다. 특히 CSM 규모가 작고 자본여력이 부족한 중소형 보험사의 경우, 동일한 기준 변화에도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임희연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 연말 무·저해지 보험 해지율 가정 변경에 따른 CSM 조정 반영으로 기초 CSM 규모가 감소한 가운데 보험손익의 구조적 감익이 예상된다"고 말했다.일각에서는 금융당국의 잇따른 규제가 소비자의 선택지를 오히려 좁히고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업계 관계자는 "무·저해지 보험은 저렴한 보험료로 소비자들에게 꾸준히 인기를 끌어왔지만, 보험료 인상으로 인해 접근성이 떨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