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점은행제 교육훈련기관의 주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 2016년 도입된 가운데, 매해 100여개 기관의 정정처리가 지난해 절반 이하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잦았던 공시 정정이 크게 감소하면서, 시스템에 대한 기관별 적응이 다소 개선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16일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학점은행제 알리미' 정정현황을 살펴보니, 2016년 196개 기관의 정정처리는 2017년 160곳을 기록했고 지난해에는 58곳으로 전년 대비 60%가량 감소했다.
학점은행제 알리미 공시 대상은 대학·전문대 부설 평생교육원, 인정직업훈련원, 평생교육시설 등 408곳이다. 이들 교육훈련기관은 △학습과정 △학급·학급자 수 △교·강사 인원 △강의료 △예·결산 △장학금 지급 현황 △학습비 등 17개 항목에 대한 공시정보를 일정에 맞춰 입력해야 한다.
학습자 등은 학점은행제 알리미를 통해 지역·기관 유형 등에 따라 공시 사항을 비교·분석할 수 있다. 하지만 구축 초기 정정처리가 잇따르면서, 10건 이상 항목을 정정하는 기관들이 있을 정도로 눈총을 사기도 했다.매해 100곳 이상이 수정에 나선 상황에서, 지난해 정정처리 기관이 크게 감소한 것은 시스템 정착에 대한 긍정적인 요소로 보여진다. 다만 전체 기관 중 10% 이상이 공시 후 오류로 정정에 나서면서 정확한 정보 입력이 요구되고 있다.
정정처리에 나선 기관 중 서울폴리텍평생교육원은 강의료·학습비 반환 현황·원격교육 시설 등 8건을 수정하면서 가장 많은 항목을 변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서산시평생학습센터 △총신대 평생교육원 등은 5건, △한국원격평생교육원 △한양대 미래인재교육원 △대한상공회의소 충북인력개발원 등은 4건, △정화예술대 평생교육원 △서울직업전문학교 △부산디지털대 평생교육원 등은 3건의 정정처리가 이뤄졌다.
서울예술실용전문학교, 대동대·동의과학대·백석대 평생교육원, 서울모드패션직업전문학교, 숙명여대 미래교육원, 케이스원격평생교육원, 한국방송아카데미학원 등은 1~2건의 공시 항목을 정정했다.
평교원 등의 공시자료는 오류가 드러날 경우 정정이 이뤄지며, 실태점검·모니터링 등을 통해 확인되기도 한다.
공시자료는 학습자가 교육훈련기관을 선택하는 데 있어 중요한 정보를 제공, 이에 정확한 자료 입력이 요구되고 있다. 이 가운데 정정처리 기관 감소는 사전 교육 등 시스템 정착을 위한 과정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국평원 관계자는 "경우에 따라 작년 자료를 수정할 수 있지만 많지 않다. 현장 실태점검에서 오류가 나오거나, 모니터링 과정에서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정정요청을 하기도 한다. 2016년 정보공시가 시작됐는데 당시 기관들이 처음 입력하다 보니 오류 사항이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시스템을 구축하면서 사전에 확인할 수 있도록 입력 단계에서 체크할 수 있도록 했다. 정정처리가 줄어든 것은 기관별 교육 등이 영향이 있었던 거 같다. 정확한 정보를 안내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 등을 계속 실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