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개소 추가 선정해 총 1200억 투자… 노동집약→기술중심 재편
-
스마트양식 클러스터는 첨단 기술을 활용해 자동화·지능화한 양식장과 대량생산단지, 가공·유통·수출단지, 연구·개발(R&D), 인력 양성 등 연관 산업이 모인 대규모 단지다.
노르웨이 등 양식 선진국은 수온·수질 등 최적의 생육조건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스마트양식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관련 양식기술 특허 출원이 늘고 있으나 육상양식 어가 대부분이 영세해 스마트양식 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해 벌인 공모에는 부산 기장군, 경남 고성군, 전남 신안군이 신청했다. 사업자선정위원회는 사업 실현 가능성과 사업시행 계획의 타당성, 사업 준공 후 운영관리계획, 현장실사 결과 등을 판단해 부산시를 사업자로 낙점했다. 부산시는 해양수산 연구·교육기관이 밀집했고 기술, 인력, 생산·유통·수출 등 연관 산업 발전 가능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해수부 관계자는 "부산이 평가항목에서 고르게 경쟁지역보다 점수가 조금씩 높았다"고 부연했다.
해수부와 부산시는 앞으로 3년간 민간자본 포함 총 400억원을 투입해 시범 스마트양식장과 함께 취·배수시설, 전기 등 배후부지 기반을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양식어종 후보군으로는 연어와 새우 등이 거론된다.
해수부 관계자는 "스마트양식이 활성화하면 사료비 등 경비 절감을 통해 경제성이 높아지고 양식업 종사자의 고령화와 인력수급 문제도 완화될 것으로 전망한다"며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적정량의 먹이를 제때 공급함으로써 수질환경 개선에도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해수부는 앞으로 매년 1곳씩 사업자를 선정해 전국에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3곳을 조성한다는 목표다.
아울러 충북 괴산군에 100억원을 들여 조성하는 내수면 스마트양식 단지도 2020년까지 차질없이 준공할 방침이다.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수심 35m 이상 외해(난바다)에서도 스마트양식사업을 벌이기 위해 타당성 연구·조사도 올해 착수할 예정이다.
정복철 해수부 어촌양식정책관은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조성은 노동집약적 산업을 기술중심 지식산업으로 재편해 어촌에 청년인력이 유입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이 사업이 연관 산업의 동반 성장과 일자리 창출로 이어질 수 있게 온 힘을 쏟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