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MA, '한국 VS 미국' 저울질글로벌 표준 제시 등 문제 없어이통사. 품질 높이기 총력… '제살깎기' 비난 자제해야
  • ▲ KT 5G 커버리지 맵ⓒ뉴데일리DB
    ▲ KT 5G 커버리지 맵ⓒ뉴데일리DB

    우리나라가 5G 서비스를 시작한 지 한달여가 조금 지났지만, 소비자들의 품질 불만이 끊이지 않으면서 '세계 최초 5G 국가'로 인정 받을 수 있을지를 놓고 우려하는 여론이 커지고 있다.

    결론부터 말하면 그동안 해당 서비스를 주도해 오고, 글로벌 표준을 제시해 온 만큼 '세계 최초' 타이틀은 문제 없어 보인다. 특히 '3G→4G LTE' 전환 당시 처럼, 5G 역시 2022년 전국망 구축까지 품질 논란은 불가피한 만큼, 더 이상 국내에서 '제살깎기'식 비난을 자제해야한다는 지적이다.

    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한국이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로부터 '세계 최초 5G 국가'로 인정받기까지는 아직 추가적인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고있다. GSMA는 현재 한국과 미국 중 어느 곳을 '세계 최초 5G 국가'로 봐야할지 저울질 중이다.

    국내 이통3사는 당초 일정보다 이틀 앞당긴 지난달 3일 오후 11시 각사별 1호 고객 대상 5G 서비스를 시작했다. 1호 고객을 놓고 보면 시간상 한국이 세계 최초다. 일반 고객 대상 개통은 지난달 5일 오전 0시부터 시작됐다.

    미국의 경우 버라이즌이 4일 오전 1시(한국 시간) '세계 최초 5G 상용화'를 선언했다. 모토로라의 5G 모토 모드를 결합해 Z3 LTE 스마트폰을 5G로 전환하는 방식을 이용했다. 버라이즌의 경우 5G 전용 단말기를 쓰지 않았다.

    업계는 이 같은 상황 속에서 최근 일고 있는 국내 5G 품질 논란이 국제사회서 '세계 최초 5G 국가'로 인정받는데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한다.

    마치 전국에서 5G가 잘되는 것처럼 선전한 이통사들의 과오가 가장 큰 문제이긴 하지만, 추가적인 품질 논란 제기는 자칫 국제사회로부터 마이너스 점수를 부여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세계 최초' 타이틀 보다 '품질'이 우선이라는 의견도 존재하지만, '세계최초' 타이틀 역시 결코 무의미하지 않다는게 업계의 지배적 시각이다.

    실제 '직지심체요절'보다 1세기 뒤에 나온 '구텐베르크 성서'가 역사적으로 더 주목을 받는 것처럼, 급변하는 ICT 환경 속에서 '세계 최초' 라는 것은 업계 리딩을 뜻하며, 표준 제시는 물론 이를 통해 글로벌 마케팅에서도 성과를 도출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국내 ICT 업계의 경우 내수시장은 물론, 구글, 아마존, 애플 등 수많은 글로벌 기업들과의 치열한 경쟁이 불가피해, '세계 최초'라는 타이틀은 꼭 가져와야 할, 그리고 그렇게 만들어야만 살아남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됐다. 정부와 국내 이통사가 미국 통신사 버라이즌의 동향이 전해듣고 기습적으로 5G 개통 시간을 앞당긴 것 역시 이와 무관치 않다.

    이와 함께 최근 제기되고 있는 품질 논란은 전국망 구축이 완료되기 전까지 지속될 수 밖에 없는 만큼, 이통사에서 제공 중인 5G 서비스 제공 지역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인지하고, 관련 서비스를 활용하면 아무 문제될 것이 없다.

    실제 이통사들은 자사 '5G 커버리지 맵'을 잇따라 공개하는 등 관련 정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며 피해와 혼란을 최소화하고 있다.

    이통사들은 최근 야기된 논란 불식을 위해 전사적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CEO들은 주기적으로 긴급임원회의를 소집해 관련 상황을 보고받고 있으며, 연내 5G 기지국 장치 23만대를 구축하겠다는 포부를 밝힌 바 있다.

    해당 기지국 장치가 마련되면 국내 인구의 93%가 모인 85개 시군 지역 및 동 단위까지 커버해 5G 서비스 조기 확장이 가능해 진다. 또 5G 음영지역에서 4G 전환시 일부 서비스 끊김 현상은 보완패치 보급과 SW 업데이트 후 급속히 감소하는 추세다.

    업계 한 관계자는 "통신사 내부적으로 최근 지속 제기되고 있는 5G 품질 논란 여론과 맞물려 국제사회서 '세계 최초 상용화' 타이틀을 뺏길까 긴장감을 내보이고 있는 모습"이라며 "전국망이 구축되기 전까지 논란은 지속될 수 밖에 없는 만큼, 더 이상 '제살깎기'식 비난 보다 투명한 커버리지 맵 등을 활용한 현명한 대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