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약 개발이 점차 어려워지면서 인공지능(AI)을 접목하려는 시도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글로벌 제약사, IT기업, AI 스타트업 등 다양한 융·복합 플레이어들이 AI 신약 개발에 뛰어들어 협업하는 추세다.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에서도 AI 신약 개발을 위한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등 다양한 분야의 융·복합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이하 제약협회)는 4일 오후 2시 서울 여의도 국회 제2소회의실에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오제세 더불어민주당 의원, 김세연 자유한국당 의원과 공동으로 국회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4차 산업혁명과 제약산업의 미래'를 주제로 열린 해당 토론회는 보건복지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가 후원했다. 제약산업의 발전을 모색하기 위해 3개 주요 부처가 함께 힘을 실은 셈이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주요 신기술과 융합하고 있는 제약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진단하는 시간을 가졌다. 특히 신기술 중에서도 AI를 신약개발에 접목하는 방안에 대한 토론이 활발했다.
지난 2017년 국내 제약시장 규모는 22조 632억원으로, 글로벌 시장(1조 1400억 달러)의 1.8% 수준이다.
특히 국내 제약 업계의 기술수출 규모가 지난 2013년부터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주요 제약사의 기술수출액은 2013년 4600억원, 2014년 6200억원, 2015년 8조 4298억원, 2016년 1조 9900억원, 2017년 1조 4000억원, 2018년 5조 3706억원을 기록했다.
원희목 제약협회 회장은 "우리가 아직 완제품을 글로벌 신약으로 내진 못했지만, 기초단계의 기술을 라이선스 아웃하는 것은 상당히 진행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원 회장은 국내 신약 개발의 문제점으로 R&D 투자액 증가세에 비해 신약개발의 성과가 주춤하고 있다는 점을 들었다.
주철희 인공지능신약개발센터 부센터장은 "신약개발의 프로세스는 상당히 힘든 여정"이라며 "10~15년간 평균 3조원 연구개발비가 소요되는 데 반해 성공률은 9000분의1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더 큰 문제는 갈수록 신약개발비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전통적인 연구 방식으로 개발된 신약의 90% 이상은 인간 대상 임상에서 실패하고 있으며, 새로 승인 받은 신약의 75%는 개발비를 충당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이 같은 상황을 돌파하고자, 다양한 융·복합 플레이어들이 신약개발에 AI기술을 접목하고 있다.
글로벌 제약사와 글로벌 IT기업은 물론이고, 최근에는 AI 스타트업들의 활약이 두드러지고 있다. 지난 5월 기준으로 132개사의 글로벌 AI 스타트업이 AI 신약개발에 뛰어든 상태다. AI 신약개발을 위해 각 플레이어들의 긴밀한 파트너십도 강화되는 추세다.
주 부센터장은 "이제 일개기업이 AI 신약개발에 있어서 단독 플레이하기 힘든 시대"라며 "기술이 상당히 빠르게 바뀌고 있고, AI는 정확한 데이터가 쌓일수록 정확도가 올라가기 때문"이라고 짚었다.
제약 업계에서는 성공적인 AI 신약 개발을 위해서는 ▲우리나라 AI 신약개발을 위한 공동협력 구조 구축 ▲AI 개발 사업을 아우르는 범부처 사업 방향 확정 ▲AI 인재 부족 문제 해결 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권진선 일동제약 책임연구원은 "정부기관, 대학, 제약사, AI 업체, IT·테크 업체와의 컨소시엄 구성을 하면 좋을 것"이라며 "해외에서는 이미 정부에서 컨소시엄을 긴밀하게 구성해서 AI 신약개발을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전 세계적으로도 가장 이슈가 되는 것이 AI 인재 부족"이라며 "우리나라에서 유능한 인재들은 미국, 일본 등 다른 나라에서 빼가는 형상이기 때문에 유능한 인재를 끌어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최근 중국은 정부 개입으로 제약 산업이 획기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권 책임연구원은 "중국의 AI 전문가들이 자국에서 돈을 더 많이 주니까 도로 들어오기 시작했다"며 "국내에서도 AI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국가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