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 효율화·자동화 위한 움직임 분주회의·보고시간 줄이고 집중근무 운영지주-은행 간 업무 혼선 우려 목소리도
  • ▲ ⓒ뉴데일리DB
    ▲ ⓒ뉴데일리DB
    300인 이상 사업장에 대한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이 내달부터 본격적으로 가동된다.

    제도 도입 'D-3'을 앞둔 은행들은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지만, 이들의 모기업인 금융지주사는 내년 1월부터 적용되는 탓에 사뭇 다른 분위기를 보이고 있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1년 전부터 주 52시간 근무체계를 대비해온 은행들은 차분한 분위기 속에서 실전 연습에 몰입하고 있다. 

    주 52시간제는 지난해 7월부터 도입됐지만, 은행들은 '특례업종'으로 분류돼 시행 시기가 1년 유예됐다. 은행업 특성상 급하게 도입하면 금융소비자 불편을 일으킬 수 있어서다.

    일단 은행들은 유연·탄력근무제, PC오프제, 페이퍼리스 등을 선제적으로 펼치며 충분한 시간을 가졌던 만큼 큰 혼란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단, 시범운영에도 불구하고 업무량이 많거나 프로젝트에 따라 업무가 집중되는 IT, 전산, 외환 등 본부부서나 일부 영업점은 추이를 지켜본 후 개선해나갈 방침이다. 

    현재 은행들은 줄어든 근무시간 내에 업무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업무 다이어트를 시행하고 있다. 

    특히 회의 문화가 크게 달라지는 모양새다. 회의시간을 최대 1시간으로 정하고 보고체계를 간소화하기 위해 PPT를 금지하거나 자료는 1장 이내로 작성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취하고 있다.

    짧은 회의는 스탠딩 방식으로 진행하고 태블릿PC로 회의 내용을 확인하도록 해 자료 출력 등 준비시간을 줄이는 연습도 하고 있다. 주요 회의 때마다 알람시계를 두고 정해진 시간 내 회의를 진행하는 은행도 있다. 

    이뿐만 아니라 오전·오후로 나눠 집중근무 시간을 운영해 타 부서 방문을 자제하거나 불필요한 외출, 업무 지시 등을 자제하고 개인별 주 업무를 처리하는 방법도 실험 중이다.

    업무에 따라 로봇프로세스 자동화(RPA)를 도입하는 움직임도 활발하다. 

    단순·반복적인 업무를 중심으로 업무 자동화 방식을 확대 적용함으로써 직원들이 주 업무에 더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미 외화송금 처리, 펀드상품 정보 등록, 담보 부동산 권리변동 사항 등록 등 업무는 사람의 손을 거치지 않고 자동 처리하고 있다.

    은행들은 모바일뱅킹이 확산하는 만큼 시간에 관계없이 가동되는 전산·보안업무 점검에도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

    교대근무나 지속해서 모니터링을 해야 하는 24시간 관제는 주로 외주 인력으로 채우고, 필요 시 휴일 대체제나 시차출퇴근제를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반면 은행을 자회사로 둔 금융지주사들은 50인 이상~300인 미만 사업장에 속해 내년 1월부터 주 52시간제가 도입된다. 6개월 더 유예기간이 적용된 셈이다.

    4대 지주사의 직원 수는 3월 말 기준 ▲신한금융 170명 ▲KB금융 162명 ▲하나금융 131명 ▲우리금융 107명 등이다.

    지주사들도 은행들에 발맞춰 미리 근로시간 단축을 연습하고 있지만, 강제 규정이 없어 직원들 상당수가 불만을 내고 있다. 내달부터 지주와 은행 직원 간 근로환경 변화에 대한 체감이 클 수 있기 때문이다.

    지주사와 자회사의 겸직이나 협업이 많은 만큼 업무 혼선이 생길 수 있다는 점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은행권 관계자는 "소비자 불편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선제적으로 근무시스템을 바꿔왔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며 "다만 제도가 제대로 작동하려면 출퇴근이나 점심시간을 정확하게 점검하거나 퇴근 후 야근 업무 등의 문제가 야기되지 않도록 철저히 해야 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