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수기 앞두고 일본 경제 보복 조치취소·예약률 하락 미미한 수준이미 감소세 들어서 있었고 여행수요 다른 국가로 순환 가능성
  • ▲ 일본 불매운동 포스터.
    ▲ 일본 불매운동 포스터.

    일본의 한국에 대한 '경제보복' 조치가 사회적인 이슈로 부상하고 유통가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난주부터 주말 내내 '일본 불매 리스트'가 온라인 등을 통해 확산됐고, 일본 여행도 '가지말자'는 분위기가 조성되면서 여행업계에도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정치적인 움직임에 휩쓸리거나 일본에 대한 적대감으로 이어지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일본 정부가 한국을 겨냥해 반도체 핵심소재 등의 수출규제 조치를 내리면서, 일본과 관련해 사지도, 가지도 말자는 '보이콧' 운동이 확산되고 있다.

    이 때문에 국내 여행업계는 성수기를 앞두고 일본 여행 수요 감소의 결과로 이어질 가능성에 대해 염두하고 있다. 한국인들에게는 가까운 일본이 인기 여행지로 꼽혀왔다.

    하지만 업계 사이에서는 이번 경제보복으로 일본 여행 수요가 줄어들 가능성에 대해 대비하고 있다.

    하나투어 관계자는 "취소문의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미미한 수준이고, 예약률이 급락했다든지 하는 눈에 띄는 영향은 없다"며 "아직은 체감하기 힘들지만 이같은 이슈가 장기화될 경우 신규예약 부분에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모두투어 관계자 역시 "일본 예약률은 오르락 내리락하고 있고, 기존에도 그래왔기 때문에 눈에 띄게 (예약률이) 빠지고 있다고 볼만한 수치는 없다"면서도 "하지만 즉흥적으로 여행을 계획했던 사람들이 신규 예약을 할 때 일본을 피하는 경우는 있을 것이라고 추측하지만 이는 업체가 파악하기 어려운 일"이라고 전했다.

    다만 업계는 최근 일본여행 수요가 이미 감소세에 들어서 있었고, 일본 여행 수요가 빠지게 되면 다른 국가 여행 수요가 늘어나기 때문에 업계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

    한국관광공사의 우리 국민 해외 관광객 주요 행선지 통계에 따르면 올해 들어 5월까지 일본에 입국한 한국인은 325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7%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우리 해외 관광객의 방문국은 일본이 754만명으로 가장 많았다. 하지만 최근 방일 한국인이 줄고 있고, 이번 경제 보복 조치까지 겹치면서 올해는 1위 국가가 바뀔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여행업계의 성수기인 7월말, 8월초를 앞두고 일본의 경제 보복 조치로 인한 양국 관계가 급격하게 악화된 가운데 성수기에 실적 상승을 꾀해야 하는 여행업계가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기도 했다.

    하지만 방일 관광객이 줄면 동남아시아, 중국과 같은 다른 국가로의 여행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는 점에도 업계는 주목하고 있다.

    지난해 일본에 이은 우리 해외 관광객 방문국 순위는 베트남 344만명, 미국 221만명, 필리핀 159만명, 홍콩 142만명, 대만 102만명 등 순이었다.

    또한 이미 일본은 감소세에 들어서고 있었지만, 동남아의 많은 국가들을 방문하는 한국인 관광객들이 늘어나고 있었다는 점도 고무적이다. 아울러 오히려 이 같은 이슈와 여행 수요 감소로 인한 가격 하락이 발생하면 여행 수요가 늘 가능성도 제기된다.

    하나투어 관계자는 "일본 수요가 빠지면 다른 국가의 수요가 늘어나는 순환적인 구조를 보이고 있다"며 "사실 최근 항공사들의 경우 신규 노선을 배정하거나 늘릴 때, 이전에는 일본 비중이 높았다면 최근에는 동남아나 중국 쪽으로 분산을 하고 있기도 하다. 일본보다 다른 국가의 여행이 떠오르고 있었던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모두투어 관계자는 "오히려 이럴 때 가격이 떨어지면 여행을 떠나는 소비자들도 많다"며 "일본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에게는 이정도 이슈가 취소로 이어질만큼 큰 것도 아니고, 환율 등 다른 요소가 더 영향이 크다"고 전했다.

    일각에서는 오히려 일본 전체에 대한 적대감으로 이어지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정치적인 이슈로 인해 유통업계 전반의 실적 타격으로 이어지는 것은 옳지 않다는 주장이다.

    관련업계 관계자는 "일본의 경제 보복 조치가 원만하게 해결되어야 하겠지만, 너무 일본 전체에 대한 적대감으로 이어지거나 일본 불매운동을 강요하는 분위기는 지양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