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7개 지역 4777가구 규모 민간참여 공공주택 건설사업 추진SOC, 공공발주 감소 따른 일감 부족 장기화 영향 치열한 경쟁 예고
  • ▲ 세종시 인근의 공사현장.ⓒ뉴데일리경제DB
    ▲ 세종시 인근의 공사현장.ⓒ뉴데일리경제DB

    정부의 잇따른 부동산 규제로 주택시장 경기가 악화되면서 건설업계가 극심한 수주난을 겪고 있다. 결국 '먹거리' 확보를 위해 그동안 수익성 문제로 외면했던 공공주택과 기업형 임대주택에 뛰어들며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빠르면 오는 19일 올해 처음으로 '민간참여 공공주택건설사업'에 대한 민간사업자 공모를 시행할 예정이다.

    이 사업은 LH 등 공공기관이 공동주택용지 등을 공급하면 민간 사업자가 공공주택을 건설해 분양에 나선다. 분양으로 발생한 수익은 총 사업비의 지분에 맞춰서 배분한다. 다만 민간분양 아파트에 비해 수익성이 떨어져 그동안 참여 건설사가 적었다.

    LH는 올해 7개 지역에서 4777가구 규모의 민간참여 공공주택 건설사업을 공모할 예정이다. 이중 인천검단 AA6블록(807가구), 화성태안3지구 B3블록(688가구) 등이 가장 먼저 민간사업자 공모를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대림산업과 대우건설, 금호산업, 우미건설, 계룡건설산업 등이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림산업과 대우건설이 대표사로 나서 컨소시엄을 구성해 경쟁을 벌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또 과거 '뉴스테이'라고 불렸던 기업형 임대주택 사업인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공모에도 건설사들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지난달 중순 발표된 1차 공모에는 대우건설과 계룡건설, 극동건설이 사업제안서를 제출했다.

    공공지원 민간임대는 민간이 제안한 사업부지에 주택도시기금과 민간이 함께 출자해서 설립한 부동산투자회사(리츠)가 임대주택을 매입하거나 건설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다만 택지 매입 비용이 비싸고 정부가 초기 임대료를 통제하기 때문에 수익성이 낮아 그동안 건설사들이 꺼리던 사업이다.

    하지만 올 들어 정부의 SOC예산 감축에 따른 공공발주 기근과 더불어 강력한 부동산 규제에 따른 일감 부족현상이 장기화되면서 건설사들이 경쟁적으로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 지난달 참가의향서를 받은 '2차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공모에 8개 업체가 의향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개 의향서를 제출하는 곳은 3~4곳에 불과한데 2배 가량 많아진 것이다.

    대형 건설사 한 관계자는 "공공공사 입찰이나 민간사업 물량이 어느 정도만 받쳐줬다면 공공지원 민간임대는 사실상 고려대상이 아니었다"며 "업체마다 당장 물량확보가 급하다 보니 서로 눈치를 보는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