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매출 63% 내부거래…시티건설 시공·관계사 시행 사업구조14곳중 9곳 정원철 회장 지분소유…영업이익 200%이상 급증시티건설 영업익 68%↓…미수금 2107억원, 1년새 2배 껑충
  • ▲ 시티건설 지난해 4분기 실적표.ⓒ전자공시스템 다트
    ▲ 시티건설 지난해 4분기 실적표.ⓒ전자공시스템 다트
    지난해 시티건설 공사미수금이 2107억원으로 직전년 1055억원대비 2배 가까이 뛴 것으로 나타났다. 미수금이 늘어난 원인은 계열사 지원이었다. 미수금중 1755억원(83%)이 정원철 시티건설 회장 개인회사를 포함한 특수관계사간 내부거래에서 발생하며 재정건전성 악화로 이어졌다.

    3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시티건설 전체 매출에서 특수관계자 내부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이 63%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사수익을 포함, 총매출 4221억원중 2644억원이 특수관계자와의 거래를 통해 발생했다.

    이들 회사는 정원철 회장이 지분을 보유한 개인회사가 시행, 시티건설이 시공을 맡는 방식으로 매출을 올렸다.

    시티건설은 시티글로벌을 비롯해 시티종합건설·시티·넥스트건설·시티해양건설·시티건설산업·시티씨앤씨 등 14개 회사와 관계를 맺고 있다.

    이중 소유주가 확인되지 않는 5곳을 제외한 9곳이 정 회장이 직‧간접적으로 지분을 소유한 개인회사다. 정 회장이 지분 100%를 소유한 회사는 △시티글로벌 △애드메이트 △시티건설산업 △시티산업개발 △시티씨앤씨 △시티오건설 등이다. 

    시티건설도 정 회장이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다. 그외 시티종합건설(54.5%)‧시티(23.1%)‧넥스트건설(100%)‧시티해양건설(100%)은 시티글로벌이 지분을 소유했다. 

    특수관계자 대부분이 시행사로서 분양사업을 통해 수익을 올리는 것도 특징이다. 이들 회사는 시티건설의 주택 브랜드인 '시티프라디움'을 사용하면서 분양수익을 올려왔다. 

    시티건설은 이들 회사에 대한 전방위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시티건설이 애드메이트·시티해양건설·넥스트건설·시티종합건설 등 9개 회사에 담보 및 지급보증을 선 규모만 9095억원에 이른다.
  • ▲ 시티건설 지난해 4분기 실적표.ⓒ전자공시스템 다트
    반면 시티건설은 자체 분양사업을 줄이는 대신 수익률이 낮은 도급사업에 몰두하고 있다. 이는 시티건설 실적에서도 엿볼 수 있다.

    시티건설은 지난해 매출 4221억원, 영업이익 107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동기대비 매출은 1.3% 소폭 상승한 반면 영업이익 68.5% 감소했다. 매출액에 큰 변화가 없음에도 영업이익이 급감한 것은 분양수익이 줄어든 까닭이다.

    지난해 기준 공사수익은 3290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30% 증가했지만 분양수익은 898억원으로 44% 줄었다.

    이는 수익률이 높은 시행을 정 회장 개인회사 등 특수관계사에 맡기고 시티건설은 시공만 맡은 영향이 크다.

    실제로 시행을 맡은 특수관계사는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증가했다.

    예컨대 시티해양건설의 지난해 매출액은 3124억원, 영업이익은 870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각각 134%, 239% 증가했다. 

    시티오건설도 매출 794억원, 영업이익 62억원으로 각각 329%, 212% 급증했다.

    문제는 시티건설과 특수관계사간 내부거래 과정에서 미수금이 증가하며 시티건설의 재무부담으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지난해 기준 시티건설의 공사미수금은 2107억원으로 이중 1755억원(83.2%)이 내부거래로 발생했다.

    기업별 공사미수금을 보면 △시티해양건설 1146억원 △시티오건설 498억원 △시티글로벌 197억원 △애드메이트 181억원 △넥스트건설 126억원 등이다.

    시행사인 이들 회사가 회수하지 못한 분양미수금으로 인해 시티건설 역시 아직 정산을 받지 못한 것이다. 즉 시티건설 입장에선 정 회장 개인회사들을 지원하면서 실적이 쪼그라든 셈이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내부거래 비중이 높다고 무조건 부정적으로 볼 이유는 없지만 경영 투명성 측면에선 마이너스 요인이 될 수 있다"며 "특히 내부거래나 계열사 지원 의존도가 높을 경우 분양경기 악화 등 외부변수에 취약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