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졸이하 판매관리자 평균연봉 4482만원 노동부 '사업체 특성별 임금 분포 현황' 공개勞 "임금격차 완화 기대" vs 使 "위화감·노사갈등 조장"
  • ▲ 노동자 임금.ⓒ연합뉴스
    ▲ 노동자 임금.ⓒ연합뉴스
    앞으로 국내 기업에 다니는 노동자는 같은 업계 종사자의 기업 규모·경력·학력·성별에 따른 임금을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정부와 노동계는 임금 분포 현황 공개가 임금 격차를 줄이는데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한다. 반면 경영계는 소규모 저임금 노동자의 위화감만 조장하고 산업현장의 노사 갈등을 부채질할 수 있다는 반응이다.

    고용노동부는 18일 '사업체 특성별 임금 분포 현황'을 임금직무정보시스템을 통해 공개한다고 밝혔다. 사업체 임금 분포 현황에는 기업 업종과 규모, 노동자 직업, 경력, 성, 학력 등 6개 변수에 따른 임금(연봉) 정보가 담겼다. 여기서 임금은 연장·휴일근로수당 등 초과 급여를 제외한 정액 급여와 성과급 등 특별 급여를 더한 금액이다.

    노동부는 2016~2018년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의 임금 구조 부문 자료를 토대로 임금 분포 현황을 제시했다.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는 1인 이상 사업체 3만3000여개를 표본으로 매년 6월 임금과 노동시간, 고용형태 등을 파악한다. 임금 구조 부문은 이 중에서도 5인 이상 사업체의 전일제 상용직 노동자를 대상으로 삼는다.

    사업체 규모는 △5~29명 △30~99명 △100~299명 △300~499명 △500명 이상으로 구분했다. 직업은 대·중·소분류로 나누며 소분류는 △사무종사자 △기능원·기능종사자 △장치·기계조작·조립 종사자 △단순노무 종사자만 제공한다.

    경력은 △1년 미만 △1년 이상~2년 미만 △2년 이상~3년 미만 △3년 이상~4년 미만 △4년 이상~5년 미만 △5년 이상~10년 미만 △10년 이상으로 나눴다. 학력은 △고졸 이하 △전문대졸 △대졸 이상으로 구분했다.
  • ▲ 고용부, 사업체 특성별 임금분포 현황 발표.ⓒ연합뉴스
    ▲ 고용부, 사업체 특성별 임금분포 현황 발표.ⓒ연합뉴스

    가령 회사 규모 300~499명인 건설업의 경우 남성 관리자의 평균 연봉은 1억1597만원, 상위 25%는 1억4501만원으로 나온다. 사무종사자는 남성 평균 연봉이 6131만원, 여성은 3385만원이다.

    사업체 규모 500명 이상인 금융·보험업은 남성 관리자 평균 연봉이 1억5988만원, 여성은 1억4738만원, 상위 25%는 남성 1억6795만원, 여성 1억5812만원이다. 판매종사자는 남녀 평균 각각 8083만원, 4767만원이다.

    같은 직업군에서 학력별 임금 현황을 보면 회사 규모 500명 이상 건설업의 대졸이상 관리자 연봉은 평균 1억1240만원, 하위 25%는 8914만원, 중위는 1억357만원, 상위 25%는 1억2884만원이었다. 사업체 규모 500명 이상인 금융·보험업의 경우 고졸이하 관리자의 평균 연봉은 1억3483만원, 대졸이상은 1억6061만원으로 나타났다. 판매종사자 평균 임금은 고졸 이하 4482만원, 전문대졸 4788만원, 대졸 이상 7665만원으로 나타났다.

  • ▲ 여성단체가 일터 내 성차별 반대 등의 구호를 외치며 다음 달 6일 조기퇴근 시위를 벌이겠다고 밝히고 있다.ⓒ연합뉴스
    ▲ 여성단체가 일터 내 성차별 반대 등의 구호를 외치며 다음 달 6일 조기퇴근 시위를 벌이겠다고 밝히고 있다.ⓒ연합뉴스
    정부가 업종·규모·경력 등에 따른 기업 임금 분포 현황을 공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임금 분포 공개는 노동계와 여성계가 요구해온 사안이다. 정부는 매년 관련 정보를 공개해 장기적으로 임금 격차가 완화할 것으로 기대한다. 같은 업계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임금을 주는 기업은 노동자의 임금 인상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질 수 있고, 반대로 평균보다 많은 임금을 주는 기업에서는 임금 인상을 자제하자는 의견이 나올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정부의 임금 정보 공개가 산업 현장의 갈등만 조장할 수 있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경영계는 임금 분포 공시의 부작용을 우려한다. 상대적으로 임금이 낮은 기업에 다니는 노동자의 위화감만 키울 수 있고, 노조가 무리하게 임금 인상을 요구할 경우 노사 갈등만 부채질할 수 있다는 견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