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건설시장, '입국제한-이동중지' 정상운영 어려워
  • ▲ ⓒ 한국건설산업연구원
    ▲ ⓒ 한국건설산업연구원
    해외건설사업을 수행중인 기업 대다수가 코로나19(우한폐렴) 확산으로 해외사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배포한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해외건설 이슈와 대응' 보고서에 따르면 해외에서 국내 건설기업들이 수행중인 사업과 착공 예정사업 및 수주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정부와 기업 차원의 대응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건산연이 해외사업중인 건설기업, 설계 및 엔지니어링 기업 총 25곳을 대상으로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코로나19 확산이 해외건설사업 수행에 심각 또는 매우 심각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밝혀졌다.

    수행중사업, 착공예정사업, 수주영업 등 해외건설사업의 모든 단계에서 코로나19의 부정적 영향이 확인된 것이다.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부분은 △입국제한으로 인력 파견 어려움(29%) △발주국 행정 조치에 따른 현장의 축소 운영(21%) △현지 국가 봉쇄 조치에 따른 현장 폐쇄(21%) 등이 꼽혔다.

    조사대상 기업들은 계약 조건상 대유행 전염병의 불가항력 조항의 포함 여부에 대해서도 발주처와의 협의가 필요한 매우 민감한 사안이라고 응답했다.

    특히 코로나19 관련 발주처와의 계약변경 협의시 공기 연장에 따른 간접비 증가, 입국 제한 등으로 인한 공기 연장, 현장 폐쇄 및 축소 운영에 따른 공기 연장 등도 주요 문제점으로 조사됐다.

    기업들이 이같은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정부에 바라는 내용은 '우리나라 인력의 입국 제한 조치 완화 및 해제 노력 지속(35%)'이 1순위로 확인됐다.

    이외에도 △공기연장에 따른 계약 분쟁 발생시 법률 자문(27%) △국내 기업의 해외공사 코로나19 대상 사례 공유(18%) △정부 차원 방역용품 지원을 통한 국가 및 이미지 제고(15%) 등도 제기됐다.

    건산연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해외건설사업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기업이 필요로 하는 지원 방안을 기반으로 정부의 조속한 대응 체계 마련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손태홍 연구위원은 "사업 수행 주체인 기업도 대응 체계를 마련해 운영할 필요가 있다"며 "정부는 해외시장에 진출 개별 기업이 활용할 수 있는 팬데믹 대응 가이드라인 수립, 입국 제한 등의 조치 완화를 위한 외교적 노력 강화, 계약 클레임 법률 자문 지원, 해외사업 수행 기업의 코로나19 대응 사례 공유, 코로나19 종식 이후 시장 진출전략 수립과 시행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