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노조, 4일 금감원서 ‘점포 폐쇄 중단 촉구’ 기자회견 예정노조, 금융포용성‧직원 고용불안 주장…점포폐쇄 절차개선 요구일각 “인력 구조조정 없는 점포 축소 방안 노조에게 인지시켜야”
  • ▲ 이마트 하남점에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4대 주요 은행의 공동 자동화기기(ATM)가 설치돼 있다.ⓒ연합뉴스
    ▲ 이마트 하남점에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4대 주요 은행의 공동 자동화기기(ATM)가 설치돼 있다.ⓒ연합뉴스
    은행 지점이 수년째 줄어들면서 일자리 위기를 느낀 은행원들이 거세게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녹록치 않은 경영환경 속 생존을 위해서는 은행들이 노조와 금융당국과 소통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KB국민·신한·우리·하나·NH농협) 시중은행의 영업점 수는 2015년 5093개에서 올해 6월 말 기준 4564개로 약 5년 사이 10%(529개) 줄었다. 

    이는 저금리 기조가 계속되는 가운데 수익성 악화에 대응하기 위한 은행의 비용절감 전략의 일환이다. 인터넷과 모바일 등 비대면 채널 활성화로 지점이 은행의 이익 확대에 기여하는 정도가 예전만 못하다는 점도 한몫했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은행의 온라인 거래비중은 3년여 사이 두배 이상 뛰었다. 이체와 출금의 온라인 거래 비중은 2016년 36.8%에서 올해 3월 74.4%로, 예금은 같은 기간 19.2%에서 47.1%로 거래가 늘었다.

    여기에 금융당국이 은행 점포 폐쇄시 거쳐야 하는 사전 절차를 내년부터 강화하겠다고 예고하자 은행들이 규제 전 지점 통폐합을 서두르고 있다.

    국민은행은 이달 중 판교경제밸리와 동대구 등 전국 총 22개 지점을 통폐합할 예정이며, 우리은행과 하나은행도 이달 각각 19곳, 6곳의 영업점 통합작업을 진행한다.

    지점이 사라지면서 그곳에서 일하는 직원들의 일자리도 위협받자 은행 노조들은 반발하고 나섰다.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은 오는 4일 금융감독원 앞에서 ‘은행 점포 폐쇄조치 중단 촉구’ 기자회견 열 예정이다.

    이들은 은행이 공공성 측면에서 이윤의 극대화만을 목표로 경영할 수 없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또 디지털 취약계층의 피해가 늘어나는 등 대면 채널 약화 부작용을 이유로 금감원에 은행 지점 폐쇄의 강력한 규제 도입을 요구할 예정이다. 금융 공공성과 포용성을 강조하고, 은행원들의 일자리를 지키기 위한 필사적인 반발인 셈이다. 

    전문가들은 은행들이 지점 축소 필요성에 대한 노조와의 공감대 형성부터 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우리금융경영연구소의 신동림 선임연구원은 “은행의 경영환경이 녹록치 않은 시점에 은행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비용절감이 필수이며, 지점 축소가 인력 구조조정 없이 현재의 위기를 타개할 수 있는 실질적이고 유일한 방안이라는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어 “특히 인력 재배치 등 인력감축을 막을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노조에게 명확하게 인지시켜야 한다”며 “다양한 대체점포 운영 확대와 디지털 소외계층에 대한 전용창구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조와 관계 개선을 위한 대안으로 영국 대형은행의 지점 축소 전략도 거론된다.

    영국 대형은행들 역시 지점을 과감하게 줄였는데 무리없이 줄일 수 있었던 배경으로  ▲정부의 은행 자율성 보장 ▲노조와 공감대 유도가 꼽힌다.

    신 연구원은 “영국 은행들은 인력감축 없는 비용절감을 위해서는 지점을 줄여야 한다는 논리를 펼쳤다”며 “직원을 보호하려다 은행 자체가 사라지는 소탐대실의 결과를 원치 않는 노조도 지점 축소 필요성에 점점 공감하고 수용하면서 지점 축소가 가속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영국의 대형은행들은 이와 함께 폐쇄될 지점 인근에 우체국 대체점포를 활용해 예금과 인출 등 기본적인 은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했으며 이동식점포와 공유점포 등 다양한 형태의 대체점포를 운영했다.

    실제로 영국 4대(낫웨스트, 바클레이즈, 로이드, HSBC)은행의 지점은 2015년 6911개에서 올해 8월 4331개로 약 5년 사이 37%(2580개)가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