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가 코스피 예상 밴드 3000~3250…공포지수 20% 넘게 상승·테이퍼링 우려도바이든 취임에 따른 美 새정부 경기부양책 기대감은 상승 요인지수보단 경기민감주, 미국향 수출주 등 종목별 대응 전략 유효
-
코스피가 단기 과열로 인한 부담으로 숨고르기에 들어갔다. 시장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취임에 주목하는 가운데 지수는 박스권 등락을 거듭할 것으로 전망된다.1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주 코스피 지수는 전주 대비 2.1% 내린 3085.90에 장을 마쳤다. 주 초반 코스피 지수는 3260선을 돌파했지만 이후 등락을 거듭하며 새해 상승분을 일부 반납했다.개인 투자자들의 9조8000억원이 넘는 매수에도 기관과 외국인은 각각 8조6800억원, 1조2500억원가량 매도하면서 지수는 숨고르기 양상을 보였다.당분간 코스피는 단기 급등에 대한 피로감으로 박스권 등락 가능성이 높게 점쳐진다. 금주 증권가 코스피 예상 등락범위는 3000~3250선이다. NH투자증권 3100~3250, 한국투자증권 3100~3200, 케이프투자증권 3000~3150 등을 제시했다.실제 코스피는 연초 대비 9.6% 상승할 동안 변동성 지표인 VKOSPI는 20% 넘게 상승했다. VKOSPI는 옵션 가격에 반영된 향후 시장의 기대 변동성을 측정하는 지수로, 공포지수로도 불린다.김성근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고객 예탁금이 70조원대를 상회한 만큼 추가 상승 여력이 남아있겠지만 단기적으로 쉬어가는 국면에 진입할 수 있다"며 "지난해 나스닥100지수와 변동성 지수가 동반 상승한 후 기간 조정 국면에 진입한 바 있다. 코스피 풋콜 비율이 저점 수준까지 내려온 점도 우려를 가중시키는 부분"이라고 말했다.테이퍼링(자산 매입 축소) 우려로 인한 영향도 증시에 영향을 주고 있지만 이로 인한 변동성은 단기간 내 마무리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김 연구원은 "클라리다 미국 연방준비제도 부의장은 지난 13일 인플레이션이 2%를 도달하기 전까지 금리인상을 하지 않겠다는 스탠스를 다시 한 번 강조했다"면서 "파월 의장도 기존 스탠스를 유지하는 발언을 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27일 예정된 1월 FOMC에서 공식화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지수 상승 부담에도 시장은 오는 20일(현지시각) 출범하는 바이든 행정부에 기대를 걸고 있다.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 14일 2조달러 규모의 추가 경기부양책 예산을 의회에 제안하자 한국 및 아시아 주요국 주식시장은 낙폭을 축소하거나 상승폭을 키우는 등 긍정적으로 반응했다. 미 국채 장기금리도 상승하는 등 대규모 부양책에 따른 경기 개선 기대감이 지속되고 있다.한대훈 SK증권 연구원은 "바이든 정부의 경기부양책은 의회를 통과해야 하지만 지난 조지아주 상원의원 선거에서 민주당이 2석을 모두 가져가며 블루웨이브가 현실화된만큼 통과 가능성이 높다"면서 "바이든 행정부가 공식 출범하면 정치적 불확실성은 해소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박석현 KTB투자증권도 "연말 연초 초고속으로 진행됐던 상승 속도로 인해 당분간은 속도 조절은 불가피할 수 있다"면서도 "하지만 연준을 중심으로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이 변함 없이 경제를 뒷받침할 거란 점에서 주가 상승 기회는 추세적으로 여전히 열려 있다"고 말했다.다만 바이든 대통령 취임 한 달 이후는 조심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하인환 KB증권 연구원은 "미국 증시와 한국 증시는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약 한 달 정도는 강세장 분위기가 유지되기에 1월에는 증시 강세 분위기가 유지될 것"이라면서도 "조심해야 할 시기는 미국 대통령 취임 후 30일 쯤에 해당하는 2월 말부터다. 이후 국내 공매도 재개와 같은 조정의 원인이 될 만한 이벤트들도 대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지수보다는 종목별 대응, 특히 경기민감주와 미국향 수출주 비중 확대 전략을 제안했다.한대훈 연구원은 "바이든 행정부에서는 파리기후협약 재가입, 동맹국과의 관계 복원, 코로나19 대응, 반이민정책 철회 등이 행정명령 1호 후보로 거론된다"며 "바이든 행정부가 처음으로 서명할 행정명령에 따라 업종별 차별화가 뚜렷해질 전망"이라고 전망했다.이어 "친환경 업종, 금리상승에 따른 금융주, 인프라 투자 확대 기대감에 따른 인프라 관련 업종, 경기부양책 규모에 따른 경기민감업종에 대한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