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기 주총 개최… "투명하고 건전한 지배구조 확립"
  • ▲ 후세인 알 카타니 에쓰오일 대표이사가 제46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에쓰오일
    ▲ 후세인 알 카타니 에쓰오일 대표이사가 제46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에쓰오일
    에쓰오일이 30일 서울 마포구 본사에서 '제46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사내이사 1명과 기타 비상무이사 4명, 사외이사 6명 등 이사 11명을 선임했다. 임기는 3년이다.

    올해 에쓰오일 주총은 전자투표 시스템을 도입해 주주가 직접 참석하지 않아도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회사 정관 개정안을 원안대로 의결해 지속가능한 성장과 경영환경 변화에 대비하기 위한 사업다각화 차원에서 △전기자동차 충전사업 △캐릭터 상표권 등 지식재산권을 활용한 라이선스업 △유류제품 외 상품, 서비스에 대한 도소매 및 중개업 조항을 신설했다.

    이날 주총은 김철수 이사회 의장이 주재한 가운데 사내이사에 후세인 알 카타니 현 대표이사 CEO를 재선임했다.

    기타 비상무이사에는 최대주주(AOC)의 모회사인 사우디아라비아 아람코의 임원으로 재직 중인 △모하메드 알 카타니 △지아드 알 무르시드 △S.M 알 헤레아기 △야흐야 알 아부샬씨 등 4명을 선임했다.

    사외이사에는 ▲한덕수 전 국무총리 ▲이재훈 전 산업자원부 차관 ▲황인태 중앙대 경영학부 교수 ▲신미남 전 케이옥션 대표 ▲정순 제니스 리 전 SC제일은행 부행장 ▲이전환 전 국세청 차장 등 6명을 선임했다.

    이날 선임된 이사 11명은 석유산업뿐만 아니라 신재생에너지, 국제무역, 회계, 재무, M&A 등 서로 다른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성을 보유한 명망 있는 인사들로 이뤄졌으며 이사회를 통해 회사 경영을 이끈다. 에쓰오일 이사회는 2019년부터 여성 이사를 2명으로 확대해 다양성을 강화했다.

    에쓰오일 측은 "정부, 국제기구, 산업계, 학계 등 국내외 다양한 분야에 종사하면서 에너지 업계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역량을 갖춘 분들을 추천받아 이사회를 구성함으로써 다양성과 독립성을 더욱 강화하게 됐다"고 말했다.

    최근 ESG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기업의 지배구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에쓰오일은 일찍부터 전문성, 독립성을 확고히 갖춘 이사회와 전문위원회(감사위원회, 보수위원회,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를 통해 투명하고 건전한 지배구조를 확립하고 있다.

    이사회의 책임경영 강화를 위해 이사의 과반수를 독립성 정책 충족 여부에 대한 검증을 거친 사외이사로 선임하고 있다. 또 감사위원회도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해 독립성을 보장하고 있다.

    이미 2015년부터 독립성을 갖춘 사외이사가 이사회 의장을 수행하고 있으며 사내이사인 CEO를 제외한 이사 전원을 비상무 체제로 운영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이사회가 객관적이고 독립적으로 CEO와 회사의 경영활동 및 성과를 감독하고 견제해 이해관계자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의사결정이 이뤄지도록 하고 있다.

    이 같은 투명하고 건전한 지배구조를 바탕으로 사회와 조화를 이루며 이해관계자의 기대 사항을 경영활동에 충실히 반영한 지속가능한 경영활동을 펼치면서 국내외 권위 있는 ESG 관련 평가에서 우수기업으로 선정됐다.

    지난해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Dow Jones Sustainability Indices, DJSI) 평가에서 2010년부터 11년 연속으로 DJSI 월드 기업에 선정됐다.

    오일가스(Oil&Gas) 산업 분야에서 11년 연속 DJSI 월드 기업에 선정된 기업은 국내는 물론, 아시아 지역 정유사 중 에쓰오일이 최초이자 유일하다.

    뿐만 아니라 지난해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주관한 '2020년 ESG 우수기업' 시상식에서 우수기업에 선정됐다. 에쓰오일은 ESG 우수기업상이 제정된 2011년 이후 8번이나 수상 기업에 이름을 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