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7월말 이후 상승폭 커… 신용대출 금리도 0.6%p 인상 신규·기존 대출자 모두 타격, 금리 상승속도 빨라질 듯 은행권 “피할 수 없는 흐름… 경기 회복속도 더뎌질 것”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가계대출 1000조원을 넘어선 시대에 시장금리가 계속 오르면서 대출자들의 이자 부담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특히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지난해 7월 저점보다 약 1%p(포인트) 가까이 뛴 곳도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 4대 시중은행의 7일 기준 신용대출 금리(1등급·1년)는 연 2.57∼3.62% 수준이다.

    이는 ‘1%대’ 신용대출 금리가 등장했던 지난해 7월 말의 1.99∼3.51%와 비교해 하단이 0.58%포인트나 높아진 것이다.

    4대 은행의 7일 현재 코픽스 연동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는 연 2.55∼3.90%다. 역시 작년 7월 말(2.25∼3.96%)보다 최저 금리가 0.3%포인트 올랐다.

    주택담보대출 금리 가운데 코픽스가 아닌 은행채 5년물 금리를 따르는 이른바 ‘혼합형’의 경우 금리 상승 폭이 더 컸다.

    혼합형 금리는 지난해 7월 말 2.17∼4.03%에서 현재 2.82∼4.43%로 상단과 하단이 각 0.65%포인트, 0.4%포인트 뛰었다.

    특히 A은행의 혼합형 금리만 따로 보면, 이 기간 2.53∼3.54%에서 3.42∼4.43%로 상단과 하단 모두 0.89%포인트나 오른 것으로 확인됐다. 

    주택담보대출 혼합형 금리는 은행채 5년물 금리를 지표로 따르는 경우가 많은데, 은행채 5년물(AAA·무보증) 금리는 작년 7월 말 1.277%에서 올해 4월말 1.841%로 0.564%포인트나 뛰었다.

    은행권 대출금리 상승 추세는 한국은행의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 통계에서도 확인된다.

    3월 기준 예금은행의 전체 가계대출 금리(가중평균·신규취급액 기준)는 2.88%로 2월(2.81%)보다 0.07%포인트(p) 올랐다. 

    일반신용대출 금리(3.70%)와 주택담보대출 금리(2.73%)는 각 지난해 2월(3.70%) 이후, 2019년 6월(2.74%) 이후 21개월 내 최고 수준에 이르렀다.

    여기에 신용대출 지표금리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은행채 1년물(AAA·무보증) 금리 역시 작년 7월 말 0.761%에서 올해 4월 말 0.835%로 0.074%포인트 올랐다.

    ◆ 신규·기존 대출자 모두 타격… “금리 상승속도 빨라질 듯”

    은행 대출금리가 오르면 신규 대출자는 물론 이미 대출을 받은 기존 차주(돈 빌린 사람)의 부담도 커진다.

    가계대출자의 60∼70%가 변동금리를 적용받는 것으로 추정된다. 신용대출의 경우 약정에 따라 3개월, 6개월 단위로 현시점의 기준금리를 적용받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상황 속 대출금리 상승속도가 빨라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한국은행 ‘소비자동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4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1%로 이미 2%를 넘었다. 기대인플레이션율은 향후 1년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 값에 해당한다. 

    물가와 자산가격 거품을 잡기 위해 미국과 한국 등 주요 국가 중앙은행이 기준금리 인상에 나설 가능성도 점차 커지고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기준금리 인상 시점이 다가올 수록 시장금리와 대출금리 상승은 불가피한 흐름“이라며 ”사상 유례없는 1천조원대 가계대출의 이자 부담이 급격히 늘어나면, 결국 가계는 소비를 줄이고 그만큼 경기 회복 속도도 더뎌질 수 밖에 없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