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3사, 9월부터 3000명 추가 투입본사·영업점 비용 분담 실랑이현장 "운임 인상분 공유 등 대책 필요"
  • ▲ 택배 DB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 없음) ⓒ 뉴데일리경제
    ▲ 택배 DB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 없음) ⓒ 뉴데일리경제
    택배 분류인력을 둔 현장 혼란이 계속되고 있다. 본사, 영업점 간 비용 분담 갈등과 함께 9월부터는 수천 명의 추가 인력을 투입해야 해 상황이 복잡하다. 현장에서는 “투입 시점이 코 앞인데 아직 어수선하기만 하다”는 우려가 나온다.

    택배업계는 지난 6월 과로사 사회적합의기구 2차 합의를 이뤘다. 택배노조 등 노동계가 장시간 근로 원인으로 지적한 ‘분류’ 관련 지원이 주요 내용이었다. 시설 자동화 등 각사 환경에 따라 합의는 조금씩 달랐지만 인력 충원, 수수료 지급 내용은 같다.

    CJ대한통운은 현재 영업점과 ‘적정 분류인력’을 두고 갈등 중이다. CJ에는 4000여 명의 분류인력이 근무 중이다. 자사 소속기사 2만 명을 기준으로하면 기사 5명 당 1명의 분류인력을 운영하는 셈이다.

    영업점은 사회적 합의기구에서 인용한 산업연구원 용역 결과를 주장한다. 산업연구원은 자동분류기 설치 시 기사 3.3명당 1명을 적정 분류인력으로 봤다. 영업점은 기사 5명당 1명 기준으로 추산된 본사 분담 예산이 모자르다는 입장이다.

    CJ는 지난 6월 합의에서 9월부터 1000명의 분류인력을 추가 충원하기로 했다. 인력 수급이 어려운 지역의 경우 분류 비용을 배송기사에게 직접 지급한다.

    CJ대한통운 영업점 관계자는 “현재 5명당 1명으로 추산된 본사 부담분 유지 시 9월 이후 현장에 큰 부담을 가져올 것”이라며 “각 영업점에서 사회적합의기구 용역과 유사한 수준의 인력을 운영할 수 있도록 도움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업계 2~3위 한진과 롯데택배는 더욱 상황이 어렵다. 한진과 롯데는 현재 1000명의 분류인력을 운영 중이다. 오는 9월부터는 1000명을 추가 투입해 각 2000명 씩 인력을 현장 배치해야한다.

    두 회사에 소속된 택배기사는 약 8000~9000명이다. 양사는 자동분류기 등의 시설이 아직 미비한 상태다. 사회적 합의기구는 자동화 시설 미설치 업체에 기사 2명당 분류인력 1명을 배치하도록 했다. 수급이 어려운 경우 수수료를 기사에게 지급한다.

    한진은 분류인력을 본사에서 직접 운영하고 있어 영업점과의 마찰은 없다. 다만 자체 투입해야하는 인력이 상당해 고민이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롯데택배의 경우 CJ대한통운과 같이 분류인력 고용 주체가 각 지역 집배점이다. 당장 9월부터 추가 비용이 발생해 현장은 타격을 우려하고 있다.

    현장 관계자는 “당장 다음 달부터 인력을 충원하고 수수료를 지급해야 할 상황이지만 본사 분담과 충당 대책이 뚜렷하지 않은 상황”이라며 “본사 차원의 운임 인상과 인상분 영업점 지원 등 실질적 협의가 시급하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