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한국은행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한국은행

    한국은행이 내년 금리인상 시기를 여러 상황 등을 고려해 조절할 방침이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31일 신년사를 통해 2022년 새해에는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를 적절히 조정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기준금리 추가 인상을 시사한 상황에서 성장과 물가흐름, 금융불균형, 주요국 통화정책 영향 등을 고려해 그 시기를 판단하겠다는 것이다.

    이 총재는 “높아진 물가와 기대인플레이션이 상호작용해 물가 오름세가 예상보다 길어질 가능성은 없는지 잘 살펴봐야 한다”며 “대출제도 운영 시에도 소상공인·자영업자 등 취약계층에 대한 선별적 지원을 당분간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외환시장의 안정 유지에도 힘쓴다는 계획이다.

    그는 “미 연준 등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높아진 인플레이션 압력에 대응해 금리인상을 이미 시작했거나 예고하고 있다”며 “각국의 통화정책 정상화 과정에서 국제금융시장의 가격변수와 자본유출입의 변동성이 증폭될 수 있다”며 모니터링을 통해 시장안정화 조치를 적기에 시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금융지원의 정상화 과정에서 가계 및 기업 부채의 잠재 부실이 현재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차주의 채무상환능력 등 금융시스템의 위험요인을 상시 점검하고 정부와 협력해 적절한 대응방안을 강구할 것이라고 전했다.

    지급결제 환경 변화에도 능동적으로 대처할 계획이다.

    이 총재는 “디지털 경제로의 빠른 진전에 대응해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도입과 관련한 기술적·제도적 연구를 한층 더 강화할 것”이라며 “지급결제 시스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새로운 지급서비스를 제공하는 빅테크 기업 등을 효과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체계도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급결제 혁신 과정에서 사회적 취약계층의 현금 접근성이 제약되지 않도록 금융포용(financial inclusion) 노력도 기울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재의 통화정책 운영체계에 개선할 점이 있는지 검토하고, 한국은행의 역할을 재정비하는 노력도 지속할 계획이다.

    그는 “인구구조 변화, 불평등 확대, 기후변화 등 중앙은행으로서도 외면할 수 없는 사회‧경제적 중요 어젠다들을 통화정책 운영에 어떻게 고려할 수 있는지에 대해 보다 적극적으로 고민할 것”이라며 “특히 기후변화는 더 이상 잠재리스크가 아닌 당면한 과제가 된 만큼, 저탄소 경제로의 순조로운 이행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국은행이 가진 정책수단을 활용할 수 있는 현실성 있는 대안을 찾아가겠다”라고 말했다.

    현재 한국은행은 외부 전문기관의 컨설팅 결과와 직원들의 광범위한 의견을 바탕으로 조직·인사 각 분야별 혁신 방안과 이행 로드맵을 담은 ‘중장기 경영인사 혁신방안’을 마련 중이다. 이 방안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돼 향후 혁신 추진 과정에서 중심축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