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 실태조사, 여러 영역서 30대가 가장 취약 상태
-
장기화된 코로나19 유행 탓에 국민 5명 중 1명은 우울 위험 상황에 놓인 것으로 나타났다.보건복지부는 ‘2021년 코로나19 국민 정신건강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11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국민 정신건강 상태 파악하고 필요한 정신건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지난 2020년부터 분기별로 진행하고 있다.지난해 4분기(12월) 우울 위험군의 비율은 18.9%로 조사됐다. 최다치였던 지난해 1분기(3월) 22.8%에서 3.9%포인트 감소했지만 지난해 3분기(9월) 18.5%보다는 0.4%포인트 증가했다.복지부는 “코로나19 장기화와 사회적 거리두기가 지속되는 상황이 영향을 줬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연령별로는 30대의 우울 점수와 우울 위험군 비율이 가장 높았다. 12월 30대 우울 점수는 6.4점으로, 점수가 가장 낮은 60대 이상(4.2점)의 1.5배다. 우울 위험군 비율은 27.8%로 60대(13.8%)의 2배 수준이다.20대는 지난해 3월 6.7점 등 다른 연령대보다 우울 점수가 높았으나, 이번 조사에서는 평균 점수인 5.0점으로 내려왔다.여성의 우울 점수는 5.7점으로, 남성의 4.4점보다 높았다. 우울 위험군 비율도 여성이 23.1%, 남성은 14.9%를 기록했다.자살 생각 비율도 30대에서 18.3%로 가장 높았다. 20대가 17.3%로 뒤를 이었다. 60대 이상은 8.7%다. 성별로는 남성이 13.8%, 여성은 13.4%를 기록했다코로나19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은 시간이 지나면서 감소하는 추세다.지난해 12월 코로나19에 대한 두려움 점수는 총점 3점 중 1.7점으로, 9월 1.6점보다 조금 올랐다. 두려움이 가장 많았던 시기는 2020년 12월(1.8점)이었다.불안은 4.0점으로, 2020년 3월 5.5점, 지난해 3월 4.6점 등보다 낮아졌다.일상생활 방해 정도는 총점 10점 중 5.0점으로, 6·9월의 5.1점과 비슷했다.영역별로는 사회·여가활동(6.2점) 방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가정생활 방해(4.5점), 직업 방해(4.3점) 순으로 점수가 높았다.정은영 복지부 정신건강정책관은 “전문가들은 경제적·사회적 영향이 본격화되는 시기에 정신건강 문제가 심화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며 “앞으로 단계적 일상회복과 함께 국민 정신건강 회복을 위한 정책을 촘촘히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