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카드 5500억 등 최대 실적올해 수수료인하·카드론규제·금리인상 '3중고'벌써 인력조정, 신규채용 중단 등 만지작
  • ▲ 자료 이미지.ⓒ연합뉴스
    ▲ 자료 이미지.ⓒ연합뉴스
    카드사들은 지난해 역대 최대 흑자를 기대할 정도로 사업에 호조를 보였지만 올해는 웃지 못하는 상황에 부닥쳤다. 이미 적자 수준인 가맹점 수수료가 또 한 번 내려갔고 조달비용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으며 주 수익원인 장기카드대출(카드론)이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에 적용되는 등 '3중고'에 처했기 때문이다.

    28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8개 전업카드사(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우리·하나·비씨카드)의 올 3분기 누적 순이익은 2조2219억원으로 전년 동기(1조6836억원) 대비 32% 증가했다.

    하나카드가 73.9%에 달하는 순익 증가를 보였고 이어 우리카드(62.6%), KB국민카드(46.5%), 삼성카드(20.2%), 신한카드(14.6%) 등도 두 자릿수 성장세를 나타내면서 전반적으로 실적이 개선됐다.

    아직 4분기 집계를 남겨뒀지만 이미 2020년 전체 순이익(2조163억원)을 훌쩍 뛰어넘은 것은 물론 3조원에 달하는 순익을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 지난해 실적을 발표한 삼성카드는 연간 누적 당기순이익이 5511억원으로 2020년보다 1294억원(38.2%) 증가했다. 이는 제일모직 지분 처분 등 일회성 요인으로 순이익 6560억원을 기록한 2014년을 제외하면 사상 최대 실적이다.

    이같은 현상은 코로나19 속 소비심리 회복으로 가맹점 수수료 수익이 늘어난데다 카드대출까지 늘어난 덕에 가능했다. 온라인 결제가 늘었고 은행에 신용대출 규제가 가해지면서 이를 이용하지 못한 금융소비자들의 카드론 선택이 많아진 결과였다. 경기 부양을 위한 소비지원금 등 정책효과도 한몫했다는 분석이다.
  • ▲ 고승범 금융위원장(오른쪽)과 더불어민주당 정무위 간사인 김병욱 의원이 지난해 열린 카드 수수료 개편 방안에 대한 당정협의회에서 대화하고 있다.ⓒ연합뉴스
    ▲ 고승범 금융위원장(오른쪽)과 더불어민주당 정무위 간사인 김병욱 의원이 지난해 열린 카드 수수료 개편 방안에 대한 당정협의회에서 대화하고 있다.ⓒ연합뉴스
    하지만 이런 실적호조는 카드업계에 '부메랑'으로 돌아왔다. 이달 31일부터 영세·중소 카드 가맹점의 우대수수료율이 0.5∼1.5%로 경감된다.

    ▲연 매출 3억원 이하 영세가맹점은 0.8%에서 0.5% ▲3억~5억원은 1.3%에서 1.1% ▲5억~10억원은 1.4%에서 1.25% ▲10억~30억원은 1.6%에서 1.5% 수준으로 수수료가 내려간다.

    카드사들이 많이 번 탓에 이익을 덜어내 영세 자영업자들의 부담을 줄이자는 취지다. 하지만 카드업계는 수수료에서 오는 이익은 미미하고 오히려 손실이 나는 수준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여신금융연구소에서는 이번 추가 인하 결정으로 연간 4700억원 가량이 이익이 감소할 것으로 보고 있다.

    호조를 이끈 카드론에도 규제가 더해졌다. 가계부채 급증을 막으려는 금융당국 의지가 뚜렷해지면서 내년에는 규제가 실질적으로 적용된다. 카드론의 경우 내년 7월로 유예된 시행시기가 내년 1월로 당겨져 차주 단위 DSR에 포함된다.

    여기에 금융당국이 카드사의 대손충당금 적립을 확대하라고 주문하면서 수익 감소가 불가피해 보인다. 충당금 적립 확대는 재무제표상 이익 감소로 나타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시장금리가 상승기에 접어들면서 카드사들의 자금조달에도 경고등이 켜졌다. 카드사는 은행과 달리 수신기능이 없어 대체로 회사채 발행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데 기준금리가 오르면서 자연스레 채권금리 인상으로 이어져 자금조달이 어려운 상황이다.

    실제 지난해 3분기 주요 전업 카드사들은 전체 자금의 72.5%를 여전채로 조달했다. 나머지는 장기기업어음(CP) 같은 수단으로 끌어쓴다.

    이런 자금 조달 구조는 지금처럼 채권 금리가 덩달아 오르는 금리 인상기에 카드사가 더 큰 비용을 치르도록 해 수익성을 악화시킨다. 자금 조달에 많은 비용을 부담할 경우 카드론 같은 상품 금리도 덩달이 높아진다.

    카드업계 한 관계자는 "악화된 수익성을 보전하기 위해 이미 신규 채용을 극도로 줄이고 희망퇴직 등 인력조정을 실시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카드사별로 혜택이 좋은 카드는 단종하려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