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택치료자 17만명… 상담센터는 145곳 뿐전화 앞 의료진 상시 대기해야… 현실적 ‘불가능’政 “가급적 모든 동네병원 참가토록 하겠다”
  • ▲ 서울 동부병원 재택관리지원 24시ⓒ강민석기자
    ▲ 서울 동부병원 재택관리지원 24시ⓒ강민석기자
    어제(10일)부터 시작된 ‘고위험군 중심 새 재택치료 관리체계’로 개인 병원과 환자도 모두 혼선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로 제정된 관리체계대로라면 재택치료자 환자는 정부가 공개한 전화 상담·처방 의료기관 및 지정약국에서 원할 때 상담 받을 수 있어야하지만, 재택치료자들은 병원에 전화 연결조차 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11일 본지 취재결과, 건강보험 심사평가원에 명단 공개된 동네 병원은 대부분 통화 중이거나 부재중이었다. 오늘 기준 재택치료자는 약 17만 명인데, 의료상담센터는 전국에 145곳뿐이기 때문에 절대적으로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혼선을 겪고 있는 건 병원들도 마찬가지다. 코로나19 전담 의료기관으로 등록된 동네 병원 중 아직까지 제대로 된 정부지침을 못 받아 상담을 해주기 어렵다는 병원도 있었다. 

    서울 중구에 위치한 한 호흡기 전담 A병원 간호사 A씨는 “의사선생님 연결 통해 처방은 가능하지만 재택치료 환자의 상담만은 어렵다”고 밝혔다. “안 그래도 코로나19 환자로 일손이 부족한데 전화상담 수요까지 감당하려면 의료진 한 명이 계속 전화기 앞에 상주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설명이었다.

    전화 상담 시 비용은 얼마나 발생하냐는 질문에는 “병원마다 상이할 수는 있지만 평균적으로 5천 원 정도 비용이 발생한다. 자세히는 모르겠다”고 답했다.

    일선 병원에서도 코로나19 재택치료자의 비용 부담 기준에 혼선을 겪는 데는 정부의 실책이 크다. 전화 상담 비용을 책정하는 부분에서 10일 당초 1일 1회 상담 무료에 2회부터 유료라고 발표한 뒤 재차 2회 이상 상담도 무료라고 정정해 혼선을 준 것이다.

    정부는 "동일 의료기관에서 코로나19 질환에 대한 전화상담·처방 때 (의료기관에서) 1일 1회 진찰료 청구 가능하다"며 "다만 1일 2회 이상 전화상담·처방이 필요한 경우에도 진찰을 받을 수 있지만, 의료기관은 추가적인 진찰료를 청구할 수 없고, 환자에게도 비용을 부담시킬 수 없다"고 추가 설명했다.

    새 재택치료 관리체계가 도입된 후 환자도 병원도 어려움이 더 증가했다는 비판에 방역당국은 “가급적 모든 동네 병·의원이 코로나19 확진자를 대상으로 한 전화상담과 처방에 참여할 수 있도록 대한의사협회와 논의하겠다”고 10일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한의사협회 관계자는  “해당 건에 대해 구체적으로 가닥이 잡힌 부분은 없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GPS 활용 자가격리 앱 적용을 지난 7일 폐지한다고 했다가, 전날 다시 9일에 폐지한다고 말을 바꾼 바 있다. 의료계 전문가들은 정부가 일관되지 않은 방역지침으로 병원과 환자의 혼란을 가중시킨다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