뚜렛 증후군 남아, 여아보다 ‘3배 이상’많아건보공단, 안전사고 감소에도 유전 질병은 늘어
  • ▲ ⓒ국민건강보험공단
    ▲ ⓒ국민건강보험공단
    어린이 안전사고 진료인원은 2016년 42만 7천 명에서 2020년 32만 4천 명으로 10만 2천 명 감소, 연평균 감소율은 6.6%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뚜렛증후군은 연평균 5.9% 늘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6년부터 2020년까지의 0세~9세 어린이(어린이) 안전사고와 투렛증후군 진료현황을 17일 발표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어린이 안전사고는 골절‧탈구 56.2%(18만 2천 명), 이물질 19.7%(6만 4천 명), 화상‧부식 19.0%(6만 2천 명), 중독 2.5%(8천 명), 압궤‧절단 2.0%(6천 명), 외상성뇌손상 0.7%(2천 명) 순으로 발생했다.

    어린이 안전사고의 증감추이를 살펴보면, 2016년 이후 지속적인 감소 추세였으며, 특히 전년대비 15.2%로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독은 –19.0%(1,860명), 압궤/절단 –18.9%(1,528명), 골절/탈구 –18.1% (40,282명), 외상성뇌손상 –11.4%(273명)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어린이 투렛증후군 진료인원은 2016년 1897명에서 2020년 2388명으로 491명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5.9%로 나타났다.

    작년 9세이하 어린이의 투렛증후군 진료인원은 2016년 1897명 대비 25.9% 증가한 2388명으로 남자가 1842명(77.1%), 여자가 546명(22.9%)으로 나타났다.

    시도별 진료인원은 경기도 791명, 서울 444명, 부산 178명, 충남 138명, 인천 134명 순이었다. 시도별 0~9세 적용인구 수 대비 비중은 충남(0.08%), 부산(0.08%), 서울(0.07%), 경기(0.07%), 광주(0.06%)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편 투렛증후군은 유전적 요인의 영향이 큰 질병으로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갑작스럽고 빠르게 반복되는 비율동적인 동작이나 음성 증상을 호소한다.

    진단 받은 환아의 직계 가족에서의 틱의 유병율은25%정도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유전적 요인에 뿐만 아니라 환경적 요인 또한 투렛증후군의 발생 및 증상 변화에 관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