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중증 환자 전날(439명)보다 41명↑ 480명정재수 실장 “환자 수보다 체계 만드는 것이 중요”
-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확산세로 확진자가 폭증하는 가운데 위중증 환자도 500명대를 육박하고 있다. 정부는 현재 의료체계 내에서 하루 위중증 환자 2000명 수준까지 감당 가능하단 입장이다.하지만 일선 의료현장은 정부의 장담과는 사뭇 다른 분위기다. 현장 의료진은 이미 의료 붕괴 목전까지 왔다며 업무 과중을 호소하고 있다.21일 서울 중구의 코로나19 전담병원 A의사(38세)는 “코로나19 검사 환자와 수백명에 이르는 재택치료 환자 전화로 업무 부담이 상당하다”고 전했다.그는 지금도 점심시간과 퇴근 후 시간을 쪼개 비대면 진료를 시행하고 있는데, 확진자가 지금보다 더 증가하면 사실상 업무가 마비될 것”이라고 전망했다.한 서울 용산구 코로나 전담병원 원장 B씨도 환자 급증세로 업무 현장의 혼선을 걱정했다. 그는 “1인 의사인 작은 병원인데 코로나19 검사와 일반 환자의 진료를 함께 보고 있어 교차 감염이 우려된다”고 전했다.또 “병원 의료진 한 명이 확진 환자를 진료하다 본인도 확진이 됐는데 어떻게 위로를 전해야 할 지 모르겠다”고 안타까움을 말했다.방역당국은 지난달 29일부터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만 실시하는 코로나19 환자 진료를 동네 의원으로 확대해 의료 인력을 적재적소에 사용할 수 있도록 조치했지만 동네 병원들은 일반 환자와 코로나19 환자 치료로 업무 부담이 감당하기 힘들 정도로 늘었다는 입장이다.정재수 보건의료노조 실장은 21일 본지와의 통화에서 “위중증 환자를 현 의료체계가 감당을 할 수 있냐 없냐는 환자 수로 결정 하는 게 아니다”라고 답했다.코로나 중환자가 증세가 호전됐을 때 해당 환자를 경증 병상으로 내리고 후속 관리도 체계를 잡는 등 의료 대응 프로토콜을 만드는 게 ‘중환자병실 여유율’을 지속 확보하는 길이라고 진단했다.정 실장은 “일선 현장에서 볼 때 그런 대응 시스템이 아직은 자리 잡고 있지 않은 것 같다”며 아쉬움을 토로했다.그는 병상회전율이 예전보단 높아지고 있긴 하지만 이는 단순히 “자가격리 해제기간이 단축되고 확진 의료진들의 격리기간이 짧아졌기 때문”이라며 체계 변화 자체가 이뤄낸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정 실장은 “하루 빨리 신속한 의료대응 체계를 만들어야 작년 1~2월처럼 갑자기 늘어난 중환자가 응급실에서 사망하는 사태를 다시 빚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