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규제 완화 등 부작용 고심은행 저원가성 예금 두 달 새 8조 증발외국인 채권매도↑, 銀 자금중개 기능 우러
  • ▲ ⓒ뉴데일리
    ▲ ⓒ뉴데일리
    새 정부가 경제정책 공약 실행을 위한 밑그림 마련이 한창인 가운데 정책부작용 우려에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부동산과 대출 규제 빗장을 풀면서 경기부양에 시동을 걸고 싶지만 걸림돌이 많다보니 신중에 신중을 기하는 분위기이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새 정부 인수위 출범 후 대출 규제 완화 기조가 뚜렷해지고 있다.

    대출총량 규제가 슬그머니 자취를 감춘 가운데 물론 갭투자 방아쇠 격인 전세자금 족쇄도 풀리고 있다.

    한걸음 더 나아가 LTV와 DSR 완화, 다주택자 양도세 인하, 재건축 규제 완화 등도 검토중이다. 

    문제는 미국 등 주요 선진국들과 정책기조가 갈리면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이다.

    전문가들은 금융정책 변경과정에서 △은행권의 저원가성 예금 이탈 △은행채 스프레드 상승 △외국인 채권투자자의 자금이탈 현상을 우려하고 있다.

    서영수 키움증권 연구위원은 “2018년 하반기 주택시장 안정화 정책 이후 나타난 주택시장 침체를 해결하지 못한 정부는 2019년 6월 이후 다시 부양책으로 정책기조를 바꾼 바 있다”며 “당시 경기부양 정책으로 바꿀 수 있던 이유는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기조 등 제반 여건이 우리나라에 우호적이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그러나 현재는 고(高)인플레이션 상황인데다 금리 인상기조라 정부의 주택시장 부양책의 실효성이 크게 약화될 가능성이 크고 각종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국내은행의 저원가성 예금은 최근 2개월(2022년 1월~2월)간 8조원 가량 이탈했으며, 5대 은행만 놓고 보면 지난달 전체 예금이 5조원 이상 이탈한 것으로 파악됐다.

    은행 예금 이탈과정에서 은행들이 새 정부 정책 기조에 맞춰 대출을 늘릴 경우 은행채 의존도는 높아질 수밖에 없다. 이 경우 통상적으로 은행채 스프레드가 빠르게 상승한다. 

    실제로 최근 은행채와 국채 간 금리 스프레드는 금융위기 직후 2010년 수준인 0.5%포인트대까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 ▲ ⓒ키움증권 리서치센터
    ▲ ⓒ키움증권 리서치센터
    서영수 연구위원은 “저원가성 예금이탈과 은행채 스프레드 상승이 동반 상승할 경우 은행의 조달 구조가 크게 약화해 은행의 자금중개 능력이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또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한미 간 금리차가 축소되면서 외국인의 채권 매도가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이미 외국인의 주식매도는 지난해 11월 이후 지속되고 있으며, 지난 3월 외국인의 채권 순매도 금액은 1조3000억원으로 매도세로 전환했다.

    그는 “결국 새 정부 정책 성공의 변수는 자금시장의 안정성 등 금리인상 부작용 완화 여부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