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우크라 침공 장기화中 봉쇄 '공급망' 차질 심화美, 5월부터 빅스텝 공세
  • ▲ 한은 금통위가 올해 두 차례 기준금리를 인상했으나 물가를 잡기는 역부족이다. ⓒ뉴시스
    ▲ 한은 금통위가 올해 두 차례 기준금리를 인상했으나 물가를 잡기는 역부족이다. ⓒ뉴시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올해 기준금리를 두차례나 올린 것은 천정부지로 치솟는 물가를 잡기 위해서다. 

    하지만 글로벌 중앙은행의 긴축,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국의 코로나19 봉쇄조치 등 시장의 변동성을 높이는 대외변수가 많아 안도하기는 이르다는 평가가 나온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3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기간에 비해 4.1%나 증가했다. 소비자물가상승률이 4%대를 넘어선 것은 2011년 12월 이후 10년 만이다. 한은 물가 관리 목표치를 2%대로 삼고 있다. 

    소비자물가 상승은 견인한 것은 석유류다. 글로벌 공급망 불안으로 31.2%나 증가해 작년 11월 이후 4개월 마네 30%넘게 상승했다. 또 우크라이나산 곡물을 비롯한 원재료 가격이 뛰면서 외식물가도 6.6% 상승했다. 외식물가 상승률은 외환위기 시절인 1998년 4월(7.0%) 이후 최대치다.

    이에 한은이 치솟는 물가를 잡기 위해 기준금리를 올렸으나 대외여건은 녹록지 않다. 

    당장 미국 중앙은행은 내달 3~4로 예정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서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p 이상 올리는 빅스텝을 단행할 가능성이 유력하다. Fed 주요 인사들은 최근 매파(통화 긴축)적 발언을 내놓으며 빅스텝 기류에 힘을 보태고 있다. 

    미국 역시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월보다 8.5%나 급등하며 인플레이션과 전쟁을 치르고 있다. 

    미국의 금리 인상에 따른 한미 간 기준금리 역전 우려도 나온다. 미 연준의 올해 금리 인상이 4~6회로 점쳐지는 가운데 빅스텝이 최소 두 번 이뤄진다면 한미 기준금리가 역전될 수 있다. 금리 역전이 벌어질 경우, 국내 채권시장서 외국인 투자자의 급격한 자본유출이 빚어질 수 있다. 다만 한은 금통위는 우리 경제 펀더멘탈에 따라 자본이탈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주상영 금통위 의장 직무대행은 "미 연준의 급격한 금리 인상이 원·달러 환율 상승 압력과 자본 유출 압력을 발생시키는 건 사실이나 우리 경제 기초체력(펀더멘털)과 성장세, 경상수지 흑자 지속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면 내외금리차 역전으로 인한 자금유출 정도는 크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뒤 글로벌 인플레이션이 심화되면서 주요국의 매파 기조는 더욱 강해지는 추세다. 기준금리를 인상해 인플레이션을 진화해야 한다는 기조다. 시장에서는 미국의 금리 인상 이후 호주 등 주요국들의 연쇄 금리 인상이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은행은 소비자물가가 당분간 4%대의 높은 수준을 보일 것으로 보고 있다. 추가 금리 인상도 속도조절이 필요하다. 올해 경제 성장률이 연초 전망치에 도달하지 못할 것이란 우려가 나오는 상황서 섣부른 금리 인상이 경기 하강으로 연결될 수 있기 떄문이다. 한은은 올해 성장률이 2% 중후반대로 기존 전망치인 3.0%보다 낮게 보고 있다. 

    기획재정부 역시 그린북을 통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영향으로 공급망 차질, 중국의 주요 도시 봉쇄 조치, 주요국 통화정책 전환 가속화 가능성 등으로 글로벌 회복 흐름의 불확실성이 확대됐다"고 밝혔다.

    고물가에 대응하는 새 정부의 고민도 깊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지난 15일 인수위원회에서 "우리 경제의 복합위기 징후가 뚜렷하고 특히 물가가 심상찮다"면서 "물가 상승 장기화에 대비해 물가 안정을 포함해 경제 체질 개선을 위한 종합적 방안을 잘 세워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에 인수위는 한은과 비공개 간담회를 갖고 "경기 회복과 물가 안정을 위한 최적의 정책 조합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더 많은 소통이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