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권 바뀔때마다 회장 임기 채우지 못해최 회장 임기, 2024년 3월, 약 2년 남아"포스코를 향한 부당한 간섭 없어져야"
-
윤석열 정부 출범을 앞두고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의 거취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과거 정권이 바뀔 때마다 회장들이 임기를 채우지 못한 ‘잔혹사’가 반복돼 왔기 때문이다.22일 업계에 따르면 최 회장은 지난해 3월 제53기 정기 주주총회에서 연임에 성공했다. 임기는 2024년 3월까지로 2년 가까이 남았다.포스코는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 76조3320억원, 영업이익 9조2380억원의 성적표를 받았다. 전년대비 각각 32.1%, 284.4% 증가하면서 연결기준으로 창사 이래 처음으로 70조원대 매출액과 9조원대의 영업이익을 달성했다.또한 지난달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면서 철강 일변도에서 벗어나 2차전지소재, 수소 등 다양한 포토폴리오를 구축해 미래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기반을 마련했다.윤 당선인이 지난 21일 광양제철소를 방문했을 때 최 회장은 “포스코그룹이 대한민국의 경제 재도약을 위해 이바지하겠다”면서 “올해 미래사업 발굴과 그룹 차원의 균형 성장을 위해 지주사 체제로 전환했다”면서 지주사 개편을 언급한 바 있다.
-
하지만 ‘회장 연임→새 정부 출범→중도 퇴진’이 반복되면서 최 회장이 임기를 마치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실제로 전임 회장 중에 연임 후 임기를 마친 경우는 없었다.박태준 초대회장은 지난 1968년부터 24년간 재임하다가 1992년 김영삼 정부와의 정치적 갈등으로 인해 퇴진했다. 황경로 전 회장, 정명식 전 회장의 임기는 각각 6개월, 1년에 그쳤다. 김만제 전 회장은 김영삼 정권에서 임기를 채웠지만 김대중 정부가 들어서고 사퇴했다.정부가 포스코 지분을 전량 매각한 2000년 이후에도 회장 잔혹사는 이어졌다. 유상부 전 회장은 2003년 노무현 정부 출범 직후 주총을 하루 앞두고 사퇴했다. 이구택 전 회장은 2007년 연임했지만 이명박 정부가 들어선 후 자리를 내놨다.정준양 전 회장도 연임했지만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임기를 1년여 남기고 사임했다. 권오준 전 회장도 2017년 3월 연임에 성공했지만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지 1년 만인 2018년 4월 돌연 사퇴의사를 나타냈다.게다가 대우조선해양의 신임 대표 선임을 두고 이달 초 인수위원회와 청와대 간 ‘알박기 인사’ 논란이 일어난 점도 이같은 관측에 힘을 싣고 있다.
-
포스코그룹이 최근 임직원에 ‘포스코그룹 정체성’ 이메일을 보낸 것도 최 회장의 연임과 관련된 것으로 풀이된다. 포스코그룹은 이메일에서 “포스코는 2000년 10월4일 산업은행이 보유한 2.4% 지분을 매각해 완전한 민간기업이 됐다”면서 “민영화가 완료된 지 20년 이상 경과됐지만 여전히 국민기업이라는 모호한 개념으로 회사 정체성을 왜곡하고 다른 민간기업 대비 과도한 책임과 부담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다”고 밝혔다.또한 “‘경영권을 행사하는 지배주주가 없다’라거나 ‘국민연금이 최대주주라서’, ‘대일청구권 자금이 사용됐기 때문에’, ‘정부의 보호와 육성으로 성장해서’ 국민기업이라는 주장은 잘못됐다”면서 “더 이상 국민기업이라는 이름으로 포스코를 향한 부당한 간섭과 과도한 요구는 없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이메일을 통해 그동안 국민기업이라는 미명 하에 포스코에 행해졌던 정치적 외압을 중단하고 최 회장을 흔들지 말라는 ‘메시지’를 담은 것으로 해석된다.이에 대해 포스코그룹은 “이메일에는 친환경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미래 지향적인 내용이 핵심이며, 정치적인 의도가 담겨있는 건 아니다”라고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