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이후 상장폐지 기업 꾸준히 증가 추세관리종목 지정, 자본잠식 등 사전 징후 나타나사유 발생 기업, 3년 이내 상장폐지 가능성 높아
-
국내 증시에서 상장폐지 하는 기업이 2019년 이후 증가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상장폐지된 기업들은 대부분 영업 적자 속에 자본잠식이 된 후 무리한 자본 확충에 나섰던 것으로 확인됐다.금융감독원은 상장폐지를 앞둔 기업들이 사전 징후를 보이고 있는 만큼 투자자들도 면밀하게 공시 사항을 분석할 것을 당부했다.2일 금감원에 따르면 최근 5년 새 국내 증시에서 상장폐지된 기업은 가파르게 늘고 있다. 2017년 12곳에서 2020년 15개사, 2021년 20개사 등으로 늘었다. 올해도 6월까지 상장폐지된 기업은 9개사에 달했다.상장폐지 사유별로는 감사의견(비적정) 등 형식요건에 따른 상장폐지가 59개사로 전체의 78.7%에 달했다. 실질심사에 따른 상장폐지는 16개사(21.3%)였다. 전체 중 ‘감사의견 비적정’ 사유가 59%로 과반 이상을 차지했다.금감원은 “75개사 중 74개사의 경우 여러 관리종목·실질심사대상 지정 사유가 연쇄·복합적으로 발생했다”라며 “관련 사유 최초 발생 이후 3년 이내에 상장폐지에 이르렀다”고 설명했다.이어 “이러한 과정에서 상장폐지 직전에 대규모 당기순손실이 확대돼 자본잠식이 심화됐다”라며 “이를 모면하기 위해 빈번한 CB·BW 발행 및 유상증자 등의 자본 확충이 수반됐다”라고 덧붙였다.이 기간 상장폐지 기업들의 재무적 특성을 살펴보면 자기자본 대비 당기순손실이 점차 확대됐다. 이같은 결손누적·확대로 인해 자본잠식 상태에 직면하는 기업 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실제 이들 기업의 자기자본 대비 당기순손실 규모는 상장폐지 5년 전에는 -25.2%였지만, 1년 전에는 평균 -107.5%를 기록했다.또 이에 따른 자본잠식 심화를 모면하기 위해 유상증자 증 대규모 자본확충이 수반됐지만, 경영·재무상황 악화에 따른 자금조달 능력 저하 및 투자 기피 등으로 그 규모는 점차 축소됐다.자금조달 방식도 증권신고서 제출 의무가 있는 공모 방식 대신 사모 또는 소액 공모 방식으로 주로 발행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상장폐지연도에 근접할수록 인수자와의 협의 무산, 청약·납입 미달 등에 따라 증권 발행을 시도하다 발행이 무산된 사례가 늘어났다.비재무적인 특성으로는 최대주주변경 공시가 증가했다. 이는 기업의 경영안정성과 밀접하게 관련된 부분이다.한국거래소에서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된 경우도 빈번했다. 기업의 인력·조직과 내부통제 부실 등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금감원 관계자는 “최근 고금리 등의 영향으로 상장기업들이 자금조달 등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투자자들의 현명한 투자판단이 요구된다”고 말했다.그러면서 “상장기업의 단순 외형상 지속가능성 뿐만 아니라 회계·경영투명성에 대해서도 각별한 관심과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