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상만 교수 “고가 본인부담 불구 요양비로 묶인 자동 인슐린 주입”상급종합병원서는 진료 볼수록 적자… 개원가서 맡기 어려운 구조 대한당뇨병학회, 신년 기자간담회 개최
-
1형 당뇨병이 ‘중증난치질환’으로 시급히 인정받아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 반나절만 인슐린 투여가 중단되면 사망위험이 있으며 심각한 합병증 우려가 있는데도 제도적 사각지대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19일 진상만 대한당뇨병학회 환자관리간사(삼성서울병원 내분비내과 교수)는 학회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정부로부터 1형 당뇨를 중증난치질환으로 인정받는 것이 시급한 상태”라고 강조했다.중증난치질환은 치료법은 있으나 완치가 어렵고 지속적 치료가 필요하며, 치료를 중단하는 경우 사망 또는 심각한 장애를 발생시킨다. 또 진단과 치료에 드는 사회경제적 부담이 상당한 수준을 보이는 질환을 의미한다.진 간사는 “이미 1형 당뇨는 중증난치질환의 정의를 충족하는데도 제자리걸음을 걷고 있어 환자의 병원 선택권이 좁아지고 고가의 본인부담이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2형 당뇨와 달리 1형 당뇨는 중증난치질환으로 지정된 타 질환에 비해 중증도 낮지 않은 상태인데도, 실제 환자가 상급종합병원을 방문하기 어려운 실정이다.진 간사는 “상급종합병원은 의무적으로 환자 수 대비 중증난치질환 비율을 올려야 하는 구조다. 때문에 1형 당뇨의 중증도가 인정받지 못하면 환자를 기피하는 현상이 생긴다. 환자가 병원서 쫓겨나는 것”이라고 우려했다.1형 당뇨가 중증난치질환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이유는 ‘연간의료비가 낮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이는 사실과 다르다는 지적이다.그는 “자동 인슐린 주입을 하면 고가의 본인부담(5년간 2000만원)이 발생하는데 의료비가 아닌 요양비로 분류돼 의료비가 낮은 질환으로 분류되고 있다”며 “환자와 질환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는 사각지대에 놓인 것”이라고 말했다.미국당뇨병학회는 자동 인슐린 주입을 표준치료고 권고하고 있으며, 대한당뇨병학회 역시 동일한 지침을 반영할 예정이다. 그러나 요양비로 묶여있어 의료진 교육이 불가능하다. 제도적 지원체계가 전혀 없다는 의미다.자동 인슐린 주입, 연속혈당 측정 등 고도화된 교육은 개원가에서 담당하기 어렵고 상급병원에서는 의료진이 소위 ‘열정페이’로 감당해도 병원에 손해를 끼치게 되는 실정이다.진 간사는 “요양비로 빠진 비용이 막대한 수준인데 연간 100만원이 안 되는 질환이라는 왜곡된 인식을 버리고 중증난치질환으로 전환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한편, 이날 간담회에서 서교일 당뇨병학회장은 “고령화 과정서 유병률이 올라가는 것은 물론 젊은 세대 환자까지 늘어나는 당뇨 대란이 예고된 상황”이라며 “예방과 치료를 위한 국가적 차원의 적극적 대책이 확대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원규장 이사장은 “환자 중심의 학회로 거듭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올해 창립 55주년을 맞아종합적 국가 당뇨병 관리모형을 개발하는데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