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단지공단, '최근 제조업 입지 동향' 보고서 발표공장 수 증가율 2%대, 용지 면적 증가율 1%대 뚝제조업계, 2030세대 젊은 인재 확보에 총력
  • ⓒ연합뉴스
    ▲ ⓒ연합뉴스
    미국 등 세계 주요국들이 '제조업 부흥'을 외치는 가운데, 국내 제조업 공장 수와 면적 증가세는 최근 10년 새 크게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국내 제조업의 글로벌 경쟁력 저하가 우려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2일 한국산업단지공단이 발표한 '최근 제조업 입지 동향' 보고서를 보면 2021년 말 기준 전국에 등록된 제조업 공장 수는 20만 2146개로 전년 대비 2.4% 증가했다.

    국내 공장 수는 매년 늘어나고 있긴 하나 증가폭은 2016년부터 감소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2015년까지 매년 3∼5% 증가하며 최근 10년간(2012∼2021년) 연평균 증가율(3.1%)을 웃돌았지만, 2016년(2.4%)부터는 주로 2%대로 떨어졌다. 코로나 확산이 본격화됐던 2020년에는 증가율이 0.6%까지 하락했다.

    공장용지 면적 증가율도 2013년 4.58%에서 2018년 1%대로 내려왔고, 코로나 사태를 겪었던 2020년에는 0.24%까지 떨어졌다. 2021년 1.65%로 다시 소폭 반등했지만 여전히 1% 선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직전 10년간 평균 증가율과 비교하면 공장 수와 공장용지 면적 증가율의 둔화는 더 뚜렸하다. 공장 수 증가율은 2002∼2012년 연평균 5.3%에서 2012∼2021년 3.1%로 2.2%p 감소했고, 공장용지 면적 증가율은 같은 기간 3.0%에서 2.4%로 0.6%p 줄었다.

    이는 제조업 성장 둔화로 고용이 감소하고 기업들이 공장을 해외로 이전하는 사례가 늘면서 국내 제조업 기반이 점차 취약해지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실제로 한국은행 통계에 따르면 2012년부터 2021년까지 최근 10년간 제조업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연평균 2.67%로 직전 10년(6.23%)보다 4%p 가량 낮아졌다.

    보고서는 "제조업 공장은 생산뿐 아니라 고용을 창출·유지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며 "미중 경쟁 심화와 글로벌 인플레이션,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등 대외적인 위협 요인과 인력 부족 문제로 제조업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주요 국가들의 경우 앞 다퉈 제조업 혁신 정책을 발표하고 나서 주목된다.

    미국이 제조업 부흥 정책을 추진 중이며 독일은 '인더스트리 4.0', 중국은 '중국제고 2025', 일본은 '일본재흥전략'을 내놨다.

    국내 제조업계는 활력 제고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최근 2030세대 젊은 인재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HD현대는 최근 한국조선해양, 현대오일뱅크 등 17개 계열사가 입주한 판교 신사옥에 어린이집을 열었고, 현대차그룹은 서울 양재동 사옥 인근 직장 어린이집을 확장했다. 포스코는 대치동 사옥에 제2어린이집을 개원해 보육 아동 수를 3배 이상 늘렸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지난 7일 경북 구미전자공고를 직접 찾아 "젊은 기술 인재가 제조업 경쟁력의 원동력"이라며 기술인력 육성 지원을 약속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