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비 1000억이상 우선적용…2030년까지 전현장 확대대형사 국제표준 'ISO 19650'인증 경쟁…해외사업 필수'총알' 없는 중소건설 위기감…"기술·인력확보 여력 無"
-
국내건설사들의 스마트 건설기술 도입이 한창이다. 건설정보모델링(BIM)·로봇·AI·드론 등을 활용한 스마트 건설기술은 설계·시공효율을 높이고 안전사고 위험을 낮추는 등 다방면에서 활용되고 있다. 공공공사 입찰에선 스마트 건설기술을 보유한 회사에 가점을 부여, 수주경쟁력과 수익성을 높이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그러나 업계 일각에선 스마트 건설기술 도입 확대가 대형사와 중소형사 양극화를 보다 부추길 것이란 시각이 지배적이다. 특히 최근 정부가 공공공사를 대상으로 BIM 도입을 의무화하자 사업 진입장벽이 더욱 높아질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15일 업계에 따르면 향후 BIM은 도로·철도·도시개발 등 공공공사 수주를 위한 핵심 경쟁력중 하나가 될 것으로 보인다. BIM은 기존 2차원 도면을 3차원에 구현하는 것을 말한다. 건축물 생애주기에 걸쳐 발생하는 모든 정보를 통합해 데이터베이스화한 후 기획·설계·시공·유지관리 단계에 활용하는 기술이다. 설계품질을 높이고 시공오차를 줄이는 한편 건물 유지관리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정부는 2030년까지 모든 공공공사에 BIM을 의무 도입할 방침이다. 단계적으로 총공사비 1000억원 이상 대형공공공사에 한해 우선 적용하고 2026년에는 500억원이상, 2028년 300억원이상, 2030년 300억원미만 공공공사에 BIM 도입을 의무화할 예정이다.이 밖에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도 추정공사비 500억원이상 공동주택 설계에 BIM을 의무 적용하고 있다.이처럼 스마트 건설기술 활용범위가 넓어지자 대형건설사들이 발빠르게 움직이기 시작했다. 시공능력평가 기준 상위 10대건설사중에선 현대엔지니어링(7위)·롯데건설(8위)·SK에코플랜트(9위)·HDC현대산업개발(10위)를 제외한 상위 6개사가 BIM국제표준 인증인 'ISO 19650'을 획득했다.대형건설 A사 관계자는 "최근 다수 국가들이 공공사업 발주시 BIM 국제표준 인증 보유여부를 자격요건으로 내걸고 있는 추세"라며 "사우디아라비아 '네옴시티' 관련 사업에서도 ISO 19650가 필수요건으로 제시되는 등 해외사업을 위해 BIM 기술확보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스마트건설을 기회로 보는 대형건설사와 달리 중소건설사 사이에선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지방자치단체나 공공기관이 발주하는 지방 공공공사에 기대고 있는 지역 중소건설사들에 BIM 같은 스마트건설 확대가 달갑지만 않을 것"이라며 "애초에 공공공사는 공사비가 낮게 책정돼 수익성이 낮은 편인데 관련기술 요구로 진입장벽까지 높아지면 '총알'이 부족한 중소건설사는 참여동기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중견건설 B사 관계자는 "최근 정부가 공공기관이 발주하는 기술형입찰에 대해 10대건설사간 공동도급을 허용하면서 중견·중소사들 불만이 상당했는데 여기에 스마트 건설기술까지 요구하니 여로모로 힘든 상황"이라며 "시평순위 50위권밖만 돼도 BIM이나 스마트 건설 관련 예산·인력을 확보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정부도 손을 놓고 있는 것은 아니다. 국토교통부는 대형사와 중소사가 한자리에 모여 스마트 건설 이슈를 논의하는 '스마트건설 얼라이언스'를 꾸리고 있다.분야별로 △삼성물산 '건설자동화' △현대건설 '빅데이터·플랫폼' △DL이앤씨 'BIM' △포스코이앤씨 '스마트안전' △GS건설 '탈현장공법' △대우건설 '디지털생산'을 맡아 중소사와 기술협력을 지원한다.또다른 건설업계 관계자는 "요즘 같은 시기 중소건설사 입장에선 중대재해처벌법을 피하기 위한 안전시스템 구축조차 벅찬 상황인데 스마트 건설까지 신경 쓸 여력이 없다"며 "중소건설사들이 피부로 체감할 수 있는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