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후암3구역 등 20m→28m 완화…대형건설사 축하현수막인근 공인중개소 "발표후 하루 몇통씩 문의전화 걸려와"한남뉴타운 90m 그대로…'재정비촉진지구 변경지침'규제층수 따라 사업성 천차만별…총선전 규제완화 기대감도
  • ▲ 서울 용산구 한남뉴타운 일대 전경. ⓒ뉴데일리DB
    ▲ 서울 용산구 한남뉴타운 일대 전경. ⓒ뉴데일리DB
    서울시의 고도제한 완화조치로 남산·북한산·여의도일대 정비사업 개발 기대감이 한층 높아지고 있다. 특히 저층 노후주거단지가 몰려있는 용산구 후암동은 벌써부터 투자문의가 빗발치고 있다는 게 인근 공인중개업소 전언이다. 

    반면 고도제한이 유지된 한남뉴타운에선 볼멘소리가 나오고 있다. 일각에선 총선을 앞두고 한남뉴타운 등 고도제한 배제지역 규제완화 문제가 재차 공론화 될 것이란 시각도 있다. 

    3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이번 고도제한 완화조치로 가장 큰 수혜가 예상되는 지역중 한곳이 용산구 후암동 일대다. 특히 고도제한이 기존 20m에서 28m로 완화된 동후암3구역은 대형건설사 플래카드가 내걸리는 등 개발 기대감이 상승하고 있다.

    후암동은 후암로를 사이에 두고 서후암동과 동후암동으로 나뉜다. 동후암동에서도 남쪽 용산고와 인접한 곳이 동후암3구역이다.

    남측에 용산공원, 동측에 남산공원을 둔 공세권이면서 지하철4호선 숙대입구역과 서울역이 도보 10분거리인 역세권이지만 남산 고도제한이 번번이 발목을 잡아왔다. 건물층수를 5층이상 올릴 수 없어 그만큼 사업성이 떨어졌고 이로 인해 정비사업 추진이 무산됐다.

    특히 도로건너편 서후암동은 최고 높이 100m이하로 정비사업을 추진중인 까닭에 동후암주민들 박탈감은 상대적으로 더 컸다. 2021년 오세훈 서울시장이 신속통합기획을 추진하면서 개발 기대감이 높아졌지만 노후도가 64%로 충족 기준인 66.6%에 못 미쳐 고배를 마셨다.

    하지만 서울시의 이번 고도제한 완화로 건물층수를 최대 10층까지 올릴 수 있게 되면서 사업성 개선과 이에 따른 정비사업 활성화를 기대해볼 수 있게 됐다.

    후암동 C공인 관계자는 "동후암3구역은 1·2구역에 비해 지대가 낮아 고도제한 완화시 사업성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편"이라며 "시장이 좋지 않을 땐 3~4일에 한번꼴로 투자문의가 이어졌는데 서울시 발표후에는 하루에 몇통씩 전화가 걸려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벌써 삼성물산과 현대건설 등 대형사들이 고도제한 완화를 축하하는 플래카드를 내걸고 있어 개발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반면 고도제한 완화에서 제외된 한남뉴타운 주민들은 아쉬움을 내비쳤다.

    한남뉴타운 경우 후암동과 같은 고도지구가 아닌 2016년 정해진 '한남재정비촉진지구 변경지침' 규제를 받고 있다. 이 때문에 이번 고도제한 완화 조치엔 포함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았지만 최근 정부의 규제완화 정책기조로 인해 내심 기대감을 가졌던 주민들이 많았다.

    특히 한남2·3구역을 중심으로 재개발사업이 진행되고 있어 사업수익성과 직결되는 고도제한 완화를 요구하는 여론이 거세다.

    지침에 따르면 한남뉴타운은 모든 구역이 고도제한 90m에 묶여있다. 아파트 한층이 2.4~2.6m인 것을 고려하면 최대 35층까지 올릴 수 있지만 한남뉴타운은 대부분이 구릉지라 이런 설계가 불가능하다. 뉴타운중 한남2구역은 최고 14층, 한남3구역은 최고 22층으로 제한된 것도 이 때문이다.

    작년 11월 진행된 한남2구역 수주전에서 대우건설은 고도제한 완화를 전제로 건물층수를 최고 14층에서 21층으로 높이는 대안설계를 제시해 사업권을 손에 쥐었다. 하지만 대안설계를 위한 기본조건인 고도제한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어 조합원들 불만이 가중되고 있는 분위기다.

    한남뉴타운에서 상대적으로 저지대인 4구역과 5구역도 일부동이 7층으로 제한된 상태라 지침변경을 기대하고 있다.

    정비업계 한 관계자는 "'35층 층고제한 룰'을 폐지한 '서울시 2040 도시기본계획' 발표후 한남뉴타운 등 고도제한 완화 기대감이 높아졌지만 '부자동네만 혜택을 준다'는 비판여론이 커질 수 있어 현실화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내년 총선을 앞두고 고도제한을 포함한 다양한 영역에서 규제완화 당근책이 제시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