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신평 "25개 증권사 국내외 부동산금융 47조6000억원"부동산 경기 회복 지연 시 최종 손실 규모 확대 우려중소형사, 5개 사업장 전액 손상 처리 시 적자 전환 가능
  • ▲ ⓒ뉴데일리DB
    ▲ ⓒ뉴데일리DB
    국내 증권사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불확실성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에 의존한 증권사들은 부동산 시장이 회복하지 못하면 손실을 감당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자기자본이 1조원 미만의 중소형사의 경우 자칫 연간 5개 이상의 사업장에서 문제가 발생할 시 곧바로 적자 전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4일 나이스신용평가는 25개 증권사의 국내외 부동산금융 익스포져(위험노출액)는 지난 6월 말 기준 47조6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1년간 위험노출액 전체 규모는 크게 변화하지 않은 수준이다. 부동산 시장 회복세가 지연되면서 투자 익스포져가 여전히 회수되지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이예리 선임연구원은 "상반기 만기 도래 예정이었던 국내 PF 익스포져 5조2000억원 중 약 73%가 만기 연장된 것으로 파악된다"라며 "대부분의 브릿지론이 본 PF로 전환되지 못한 채 만기 연장됐고, 나머지 사업장 익스포져 역시 차주 변경이나 외부 매각 등을 통해 상환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본 PF의 경우 정상적인 분양대금 유입을 통해 회수한 사업장도 있지만, 미분양 담보대출 또는 상각 처리로 해소된 사업장 역시 상당 부분 존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해외 부동산 익스포져의 경우 대부분이 미국과 유럽지역 오피스 투자 형태로 구성됐는데, 관련 시장 위축이 이어지면서 상반기 만기도래 예정이었던 2조6000억원 중 90%가 만기 연장됐다고 지적했다. 
     
    부동산 경기가 회복되면 이러한 만기 연장은 부동산 익스포져를 해소하는 방안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부동산 경기 회복이 지연되면서 만기 연장으로 인한 추가적인 이자 부담 증가와 사업성 하락 등으로 최종 손실 규모는 오히려 확대될 수 있다.

    실제 국내 증권사의 부동산 PF 고정이하여신 규모는 지난 6월 말 기준 1조2000억원이다. 

    그러나 사업장이 정상화하지 않아 잠재 부실 가능 위험노출액은 지난 3월 말 기준 6조원으로 5배에 달한다. 이중 올해부터 오는 2026년 중에 만기가 도래하는 자산이 매년 1조원에 달한다.

    이 연구원은 "부동산 경기 회복이 지연돼 부동산 사업 프로젝트가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않거나 자금 재조달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으면 자산매각을 통해 투자금을 회수하는 사례가 늘어 증권사가 부담해야 하는 손실액도 증가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나신평은 이와 함께 증권사별 자본 규모에 따른 손실 감내 능력으로 초대형사는 평균 5500억원, 대형사와 중소형사는 각각 1400억원과 300억원이 마지노선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나신평이 분류한 자기자본 5조원 이상의 초대형사는 미래에셋증권, 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삼성증권, KB증권, 하나증권, 메리츠증권, 신한투자증권 등 8개사다. 

    대형사에는 ▲키움 ▲대신 ▲한화 ▲유안타 ▲교보 ▲신영 ▲현대차 ▲하이 ▲IBK ▲BNK투자증권 등 10개사가 분류됐다. 이밖에 ▲유진 ▲이베스트 ▲DB ▲다올 ▲부국 ▲SK ▲한양증권 등 7개사가 중소형사로 분류됐다.

    증권사의 손실흡수 버퍼와 보유하고 있는 건당 평균 부동산 익스포져 규모를 기준으로 추정할 경우, 초대형사는 국내 36개 사업장 혹은 해외 17개 사업장이 전액 손상 처리돼도 경상적으로 흑자 기조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반면 대형사는 국내 11개 사업장 또는 해외 5개 사업장, 중소형사는 연간 5개 이상의 구내 사업장이 전액 손상 처리된다면 경상적으로 적자 전환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 연구원은 "대형사의 경우 위탁매매, 전통 IB 등 부동산을 제외한 사업 부문에서 경상적으로 창출하는 수익 규모가 커 손실을 충당할 여력이 충분하다"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중소형사와 부동산금융을 중심으로 외형을 확대해 온 대형사는 부동산을 제외한 타 사업 기반이 상대적으로 낮아 감내할 수 있는 손실 규모가 작은 것으로 판단한다"라고 설명했다.

    이 연구원은 마지막으로 "부동산금융 위험노출액에 대한 증권사별 대응 능력을 점검하고 필요시 신용등급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